스켈터랩스, ‘AI 에이전트’로 교육 분야 인공지능 전환(AX) 나서

22
스켈터랩스, ‘AI 에이전트’로 교육 분야 인공지능 전환(AX) 나서
스켈터랩스, ‘AI 에이전트’로 교육 분야 인공지능 전환(AX) 나서

인공지능(AI) 기업 스켈터랩스(대표 조원규)가 자체 개발한 AI 에이전트인 ‘벨라 에이전트’를 활용해 교육 분야의 인공지능 전환(AX)을 돕는 서비스를 제공한다고 19일 밝혔다.

스켈터랩스의 자체 개발한 AI 에이전트인 ‘벨라 에이전트’는 사용자가 목표를 제시하면 인공지능이 문제 해결을 위한 의사결정을 자율적으로 판단하고 과업을 수행하는 챗봇 형식의 시스템이다. 기업용 LLM 브랜드인 ‘벨라(BELLA)’의 운영 툴(Admin)에 접목돼 있으며 AI 에이전트에 RAG(검색 증강 생성) 기술을 통합해 LLM의 한계로 꼽히는 최신성과 정확도를 높인 것이 특징이다.

교육 특화 AI 에이전트는 실제 교육 현장에서 학생들과 교직원의 학업 및 행정 업무 편의를 돕기 위해 설계됐다. 교육기관은 안내하고자 하는 정보가 담긴 문서를 업로드하면 해당 데이터를 기반으로 질의응답 가능한 챗봇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으며, 과업 수행까지 가능하다. 또, 신규 정보가 발생하거나 내용 변경이 필요할 경우 챗봇에 대한 추가 개발없이 관련 문서만 교체하면 돼 편리하고 비용 효율적이다. 문서 업로드 및 관리는 백오피스 도구와 API를 통해 제공된다.

교내 ERP(전사적 자원 관리) 시스템과의 연동도 지원한다. 연동 시 다양한 정보 제공은 물론 간단한 작업 수행까지 가능하다. 예를 들어, 교직원들에게는 빈번하게 인입되는 문의를 단순히 답변하는 것을 넘어, 실제 신청 절차까지 수행할 수 있어 업무 효율을 높이며, 학생들에게는 학업과 진로 탐색 등에 필요한 개인화된 최신 정보를 실시간 안내할 수 있다. 

또한 고도화된 RAG 기술이 더해져 정보의 △최신성 △전문성 △투명성을 자랑한다. AI 에이전트는 도구의 정상 작동 여부를 신속하게 판단하고, 필요한 정보를 정확하게 가공할 수 있어야 하는데, 바로 여기서 RAG가 필요하다. RAG는 여러 출처에서 정보를 검색하고 종합할 수 있어 다양한 상황에 맞춰 활용될 수 있는데, 이를 통해 실수를 줄이고 작업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다. 학생 개개인별로 필요한 정보가 다르고, 성적 관리나 진로 설계와 같은 중요한 부분에서 필수적인 기술인 셈이다. 

스켈터랩스는 이번 교육 분야 특화 AI 에이전트를 시작으로 제품 포트폴리오를 확대하며 더욱 폭넓은 분야에서 도입 가능한 활용도 높은 맞춤형 LLM 서비스를 지원할 계획이다.

조원규 스켈터랩스 대표는 “RAG 기술을 적용한 AI 에이전트는 인공지능이 신뢰도 높은 전문적인 정보를 이해하고 이에 기반한 질의응답 및 과업 수행이 가능해 교육 분야와 같이 정확도 높은 정보를 제공하는 것이 중요한 영역의 디지털 전환을 이끄는데 있어서 특히나 효과적이다”라며 “앞으로도 생성형 AI의 사용성을 비약적으로 높이는 AI 에이전트 고도화에 힘쓰며 다양한 분야 및 산업 현장에서 체감할 수 있는 혁신을 만들어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스켈터랩스는 19일부터 21일까지 제주 신화월드에서 3일간 개최되는 ‘2024 교육정보화 컨퍼런스’에 참가한다. 해당 행사에는 전국 400여개 대학을 포함해 40개 교육 유관기관과 유수 기업이 참여할 예정이다. 스켈터랩스는 버티컬 솔루션 전문기업 ‘메타넷디엘’이 운영하는 부스에서 AI 에이전트가 접목된 학생 및 교육용 챗봇을 소개한다. 또한 실제 서비스 시연을 통해 행사 참가자들에게 교육 분야에 접목될 수 있는 첨단 인공지능 혁신 기술을 직접 경험할 수 있는 시간을 마련한다는 계획이다.

+1
0
+1
0
+1
0
+1
0
+1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