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의 전기차 찍어내기에…” 탈중국 하는 폭스바겐, 볼보?!

62

볼보의 전략적 생산 기지 이동 탈중국?

볼보는 2024년 6월 기준, 중국에서 벨기에로 일부 전기차 모델의 생산 기지를 이전하기로 결정하였다. 이는 유럽연합(EU)이 중국산 전기차에 높은 관세를 부과할 가능성에 대비하기 위한 조치로 해석된다. 현재 볼보는 중국 장자커우 공장에서 EX30과 EX90 모델을 생산하고 있으며, 이를 2025년부터 벨기에 헨트 공장에서 생산할 계획이다. 이번 결정은 유럽 시장에서의 경쟁력을 유지하고, 관세 압박에서 벗어나기 위한 전략적인 이동이다. 이를 둘러싸고 소위 탈중국 아니냐 하는 분위기가 였보이기도 한다. 이에 대해 자세히 알아본다.

볼보
출처: 볼보

유럽연합의 관세 압박

유럽연합은 중국 정부가 자국 전기차 산업에 과도한 보조금을 지급하여 유럽산 전기차의 경쟁력을 약화시키고 있다고 판단하고, 이에 대한 반보조금 조사를 진행 중이다. 현재 10%의 관세를 부과하고 있는 EU는 향후 중국산 전기차에 대해 25∼30%의 관세를 부과할 가능성이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볼보는 유럽 시장에서의 경쟁력을 유지하기 위해 생산 기지를 벨기에로 옮기기로 결정하였다.

▲ 볼보의 EX90

폭스바겐의 탈중국, 신장 철수 검토

독일의 폭스바겐 그룹은 중국 신장위구르자치구 공장에서의 철수를 검토하고 있다. 2013년 신장위구르자치구 우루무치에 조립 공장을 설립한 폭스바겐은 이 지역에서 발생하는 인권 침해 논란으로 인해 철수를 고려하고 있다. 독일의 정치인들과 인권 단체들은 폭스바겐에게 신장 철수를 촉구하고 있으며, 이는 폭스바겐이 강제 노동 문제로부터 자유롭지 않다는 압박을 받고 있는 상황이다.

▲ 폭스바겐 ID.7

미국의 수입 보류와 폭스바겐의 대응

최근 폭스바겐의 포르쉐, 벤틀리, 아우디 차량이 강제노동 의혹을 받는 중국 신장 위구르자치구산 부품이 사용된 이유로 미국 항구에서 수입이 보류된 사건이 발생하였다. 미국의 ‘위구르 강제노동 금지법'(UFLPA)을 위반한 부품이 발견되어 수천 대의 차량이 미국 항구에서 발이 묶였고, 폭스바겐은 해당 부품을 교체하기 위해 차량 인도를 연기한 상황이다. 이러한 논란은 폭스바겐의 철수 결정을 가속화시키고 있다.

중국의 반응과 입장

중국 정부는 이러한 인권 탄압 주장을 강력히 부인하며, 일부 정치 세력이 허위 정보를 퍼뜨리고 있다고 주장하고 있다. 왕이 중국공산당 중앙외사판공실 주임은 독일과의 협력을 강조하며 탈중국화를 지양할 것을 요구하고 있다. 그러나 볼보와 폭스바겐의 움직임은 이미 시작된 것으로 보이며, 이는 글로벌 자동차 업계의 새로운 변화의 신호로 해석될 수 있다.

글로벌 자동차 업계의 변화 전망

볼보와 폭스바겐의 중국 철수 및 생산 기지 이동은 글로벌 자동차 업계에 큰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된다. 유럽연합의 관세 압박과 인권 논란은 다른 자동차 업체들에게도 유사한 결정을 촉구할 수 있다. 앞으로 다른 자동차 업체들이 중국을 떠나 유럽으로 생산 기지를 이전할 가능성도 높아지고 있으며, 이는 자동차 업계의 지형을 변화시킬 중요한 요인이 될 것이다.

+1
0
+1
0
+1
0
+1
0
+1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