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시세(금값)… “미국 연준 불확실한 행보와 금 ETF 매도세에 불안감 높아져”

35

22일 오늘의 금시세(금값)는 하락세를 보이고 있다. 은시세(은값)도 떨어졌다.

전문가들은 미국 연방준비제도이사회의 불확실한 행보 등이 투자자들의 심리를 불안하게 만들고 있다고 분석했다.

골드바 / Pixfiction-shutterstock

국내 금·은 거래 주요 기관별 이날 기준 금가격(이하 3.75g 한 돈 기준)은 다음과 같다.

한국금거래소 금·은 시세 / 공식 홈페이지

한국금거래소

순금(24K) : 매입가 43만 9000원 / 매도가 38만 2000원

18K 금 : 매입가 ‘제품 시세 적용’ / 매도가 28만 1600원

14K 금 : 매입가 ‘제품 시세 적용’ / 매도가 21만 8400원

백금 : 매입가 19만 4000원 / 매도가 15만 7000원

은 : 매입가 6050원 / 매도가 4810원

한국표준금거래소 금·은 시세 / 공식 홈페이지

▲한국표준금거래소

순금 : 매입가 43만 8000원 / 매도가 38만 4000원

18K 금 : 매입가 ‘제품 시세 적용’ / 매도가 28만 2300원

14K 금 : 매입가 ‘제품 시세 적용’ / 매도가 21만 8900원

백금 : 매입가 19만 2000원 / 매도가 14만 7000원

은 : 매입가 5710원 / 매도가 4130원

금시세닷컴 금·은 시세 / 공식 홈페이지

▲금시세닷컴

순금(24K) : 매입가 43만 3000원 / 매도가 38만 6000원

18K 금 : 매입가 32만 3000원 / 매도가 28만 5000원

14K 금 : 매입가 25만 1000원 / 매도가 22만 1000원

백금 : 매입가 16만 8000원 / 매도가 15만 8000원

은 : 매입가 4950원 / 매도가 4650원

<금값 영향 요인 분석>

이날 금가격과 은가격은 크게 하락했다.

21일(캐나다 시각) 투자 관련 전문 매체 킷코닷컴에 따르면 이날 캐피탈라이트 리서치의 리서치 책임자 샹텔 쉬벤은 투자자들이 금 시장의 변동성 확대에 대비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그에 따르면 전통적으로 여름철 귀금속 시장은 유동성이 낮아 변동성이 더 커질 수 있다. 동시에 시장이 연준의 다음 움직임을 다양하게 추측하면서 시장 불확실성은 극도로 높아진 상태다.

쉬벤은 금이 약세를 보이고 있지만 더 넓은 시각으로 바라보는 것이 중요하다고 밝혔다. 그는 금이 온스당 2280달러(약 317만 원) 부근에서 견고한 바닥을 형성했다고 설명했다.

쉬벤은 인플레이션 압력이 여전히 높지만, 경제를 지원하기 위해 9월에 연준이 금리를 인하할 것으로 기대한다고 전망했다.

반면 금값 상승에 대한 부정적인 견해를 보이는 전문가도 있다.

코메르츠 은행의 상품 분석가인 바바라 램브레히트는 “금 ETF는 최근 다시 매도세를 기록했다. 따라서 지난주 순매수 포지션이 2020년 봄 이후 최고 수준으로 상승한 ‘투기적 금융 투자자들’의 시장 포지션을 살펴볼 필요가 있다. 이러한 투자자들의 높은 낙관론은 금가격의 하락으로 이어질 수 있다”고 우려했다.

스타를 위해 투표하세요! 스타의 이름으로 기부됩니다.

+1
0
+1
0
+1
0
+1
0
+1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