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0대 퇴직자도 새 출발 가능할까?”
정부, 중장년 경력 지원제 ‘희소식’
퇴직 후 재취업의 길이 막막했던 중장년층에게 희소식이 전해졌다.
정부가 2025년부터 시행하는 ‘중장년 경력 지원제’가 그것이다. 50대 이상 퇴직자를 대상으로 새로운 직종에서 경력을 쌓을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고, 월 최대 150만 원의 수당까지 지급한다.
이 제도가 중장년층의 새로운 일자리 전환을 돕는 실질적인 해결책이 될 수 있을지 주목된다.
퇴직 후 막막했던 중장년층, 경력 전환 기회 얻는다
2025년부터 시행되는 ‘중장년 경력 지원제’는 퇴직한 50대 이상 중장년층이 새로운 직종으로 전환할 수 있도록 직무 교육과 실무 경험을 제공하는 프로그램이다.
최근 2차 베이비붐 세대(1968~1974년생) 약 954만 명이 은퇴를 앞두고 있어, 정부는 퇴직자들의 경제적 어려움을 해소하고 노동시장 참여를 유도하기 위해 이 제도를 신설했다.
해당 제도에 참여하는 퇴직자는 1~3개월 동안의 직무 교육 및 실무 훈련을 받을 수 있으며, 이 기간 동안 월 최대 150만 원의 참여 수당이 지급된다.
지원 대상은 사무직 등의 퇴직자로, 자격증을 취득했거나 직무 훈련을 받은 후에도 실무 경험이 부족해 취업에 어려움을 겪는 중장년층이다.
경험 쌓고 수당도 받고… 일자리 지원 확대
‘중장년 경력 지원제’의 가장 큰 특징은 단순한 직업교육을 넘어 실제 기업에서 실무를 경험할 수 있도록 한다는 점이다. 참여자는 전기기사, 공조기능사, 사회복지사 등 자격증이 필요한 직종에서 직접 일하며 경력을 쌓을 수 있다.
정부 관계자는 “신입이 아닌 중장년층이 새로운 직종에서 경력을 시작하려면 실무 경험이 중요한데, 이 부분에서 어려움을 겪는 경우가 많다”며 “이번 제도는 실제 현장에서의 일 경험을 통해 중장년층이 원활히 재취업할 수 있도록 돕는 데 초점을 맞췄다”고 설명했다.
기업에도 혜택… 참여 기업당 월 최대 40만 원 지원
정부는 중장년층에게 실무 경험을 제공하는 기업에도 지원금을 지급한다. ‘중장년 경력 지원제’에 참여하는 기업은 고용보험 피보험자 수 10인 이상이어야 하며, 이 기업들은 참여자 1인당 월 최대 40만 원의 운영 수당을 받을 수 있다. 단, 단순 노무직과 같은 저숙련 직군은 지원 대상에서 제외된다.
전문가들은 이 제도가 중장년층과 기업 모두에게 긍정적인 영향을 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한 노동시장 전문가는 “기업 입장에서는 정부 지원금을 활용해 추가 인력을 운용할 수 있고, 참여자는 새로운 직무 경험을 쌓을 수 있어 서로 윈-윈(win-win)하는 구조”라고 평가했다.
2025년 초 시행 예정… 신청 방법은?
해당 프로그램에 참여하려면 50대 이상 퇴직자로, 새로운 직종으로 전환을 희망하는 중장년층이어야 한다. 특히 자격증을 취득했거나 직무 훈련을 받았지만 실무 경험이 부족한 경우 지원이 가능하다.
참여 기업은 고용보험 피보험자 수 10인 이상이어야 하며, 정부는 현재 위탁 기관을 선정 중이다. 모집 공고는 2025년 초에 발표될 예정이며, 자세한 사항은 고용노동부 고령사회 인력정책과(☎044-202-7459)에서 확인할 수 있다.
정부 관계자는 “퇴직 후에도 경제적 자립을 희망하는 중장년층에게 새로운 기회가 될 것”이라며, “많은 퇴직자가 새로운 직업에 도전할 수 있도록 지속적으로 지원하겠다”고 밝혔다.
2025년부터 본격 시행되는 ‘중장년 경력 지원제’가 중장년층의 재취업 문제를 해결하는 실질적인 대책이 될 수 있을지 관심이 모아진다.
실시간 인기기사
- 초기 증상도 없어 “중년 여성들 위험” … 남성과는 다른 증상에 ‘깜짝’
- 中은 신경도 안 쓰더니 … 세계 갑부들, 단 ‘하루 만에’ 무너졌다
- “주말에 나가기 창피해” .. 법인차, 연두색 번호판 결과에 ‘드디어’
- ‘출연료 171억’ 이정재, 팬들은 알지 못한 부모님과 ‘고충’ 털어놨다
- 결국 해낸 KGM “10년 만에” .. 해외에서 만들어낸 ‘기적’같은 성과
- 동상이몽 김민재, 가족 떠나 ‘원룸’ 살이 하는 이유
- ‘금수저’ 이이경이 쏟아낸 눈물… “나만 몰랐다”
- 오매불망 기다리던 이 車, ‘제발 이대로만’ .. GV90, 서서히 드러나는 ‘윤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