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수연 네이버 대표는 7일 진행된 지난해 4분기 실적 발표 후 컨퍼런스 콜에서 “딥시크의 출현은 후발주자가 선발주자를 적은 규모로 추격 가능하다는 사례를 보여줘서 혁신적인 의미가 있다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저희도 선두업체와의 기술 격차가 일어나지 않도록 멀티모달, 추론능력을 강화하면서 비용 효율화 방안을 모색할 것”이라며 “하이퍼클로바X는 네이버 서비스에 최적화한 모델로 개발 및 고도화하고 있고 네이버는 자체 모델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유연성을 가지고 다른 LLM(대형언어모델) 도입도 고려할 수 있을 것으로 보고 있다”고 덧붙였다.
또 “전략적으로 저희에게 유의미한 변화를 가져오기 보다는 변화의 속도가 앞당겨졌다고 본다”라며 “네이버는 양질의 데이터와 AI 접목 서비스, 버티컬 서비스를 가장 많이 소유한 인터넷 서비스로 이러한 환경 변화가 저희의 변화를 가속화시킬 것이며 비용 측면에서도 이점을 누릴 수 있을 것으로 보고 있다”고 언급했다.
©(주) 데일리안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대국민 메시지’ 낸 국민의힘…’이재명 압박·존재감 확보’ 동시 공략
- [르포] “싸게 사려면 줄 서야죠”…한파에도 발길 끊이지 않는 ‘성지’ 약국
- [오늘 날씨] 중부 최고 눈 10cm↑·영하 15도 한파…출근길, 자동차 ‘배터리 방전’ 당황스럽다면?
- [대권 가는 길 ①] 정치권 강타한 ‘김문수 돌풍’…관건은 확장성
- “재수 실패한 아들아 날 봐라”…명문대 합격한 50대 엄마
- 네이버 이해진, 경영 복귀 공식화…최수연 대표 재연임 성공
- [컨콜] 네이버 “넷플릭스 제휴로 멤버십 가입자 1.5배 늘어”
- [컨콜] 네이버 “외부 LLM과 협업 가능성 열어두고 대화 진행 중”
- 앰퍼샌드원 나캠든·브라이언, 2년연속서울패션위크참석
- 봉준호 감독, ‘뉴스룸’ 출연…’미키 17′ 비하인드 밝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