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TRI, 혁신 나노기술 6종 대중에게 공개

313

센서‧로봇‧의료기술 등 첨단 기술

3일부터 사흘간 킨텍스서 전시회

ETRI 연구진이 근골격 모니터링을 위한 웨어러블 센서 기술을 활용해 근육의 활성도와 피로도를 모니터링하는 모습. ⓒ한국전자통신연구원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은 3일부터 사흘간 일산 킨텍스에서 개최되는‘나노코리아 2024’에 참가해 최첨단 나노 신기술을 전시한다고 밝혔다.

이번 전시회서 ETRI는 최근 연구개발 중이거나 연구성과로 도출된 촉감센서 집적형 로봇, 근골격·심혈관 등 의료분야, 뉴로모픽 인공지능 기술 등 우리 삶과 밀접한 나노 관련 기술 6개와 3개 사업 등 총 9개 부분에 걸쳐 공개한다.

ETRI가 전시하는 기술은 360도 전방위 촉각센서 로봇핸드 기술, 근골격 모니터링을 위한 웨어러블 센서 기술, 실시간 혈압 모니터링을 위한 유연인장 패치 기술 등이 있다.

먼저 ‘360도 전방위 촉각센서 로봇핸드 기술’은 공기압 기반의 고내구성 압력센서와 최신 로봇핸드가 융합된 기술이다. 여러 방향에서 인가되는 압력을 정밀하게 감지해 로봇핸드가 사람의 손처럼 자연스럽게 물체를 다룰 수 있게 하는 기술이다.

ETRI는 사람 피부와 유사한 강성을 가지는 에어 챔버형 유연 촉각센서 하드웨어 기술과 고분해능 신호처리 회로 기술 개발을 통해 물체의 강성 정보를 실시간으로 파악할 수 있는 고도화된 센서를 개발하는 데 성공했다. 향후 로봇과 인간 간 상호작용을 한 단계 더 발전시키고 물류 자동화, 가정용 로봇, 스마트팩토리, 휴머노이드 로봇 기술 등에 활용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근골격 모니터링을 위한 웨어러블 센서 기술’은 피부에 부착하거나 옷 위에 착용할 수 있는 유연한 압력 센서와 진동 센서를 활용한 웨어러블 헬스케어 센서 기술이다. 옷 위에 착용하여 측정할 수 있어 편리하고, 측정 시 피부의 유분, 땀 등으로 인한 불편함으로부터 자유로울 수 있다.

근육의 활성도와 피로도를 동시에 추출하는 알고리즘을 적용해 실시간 근육 상태를 모니터링하고 개인별 누적된 근활동 정보를 제공한다. 기존에는 근육의 활성도와 피로도를 동시에 측정할 수 있는 기술이 없어서, 해당 기술이 가지는 의미는 크다고 ETRI 측은 설명했다.

본 기술은 임상 시험을 통해 스마트 스트랩이나 웨어러블 스포츠 기기로 개발되어 일반인의 헬스케어 증진에 활용될 계획이다. 향후 운동선수의 근손상 재활치료, 고령자의 근감소증 관리, 근마비 환자의 장기 재활 등 다양한 의료분야에서 응용될 수 있다.

‘실시간 혈압 모니터링을 위한 유연인장 패치 기술’은 피부처럼 얇고 유연하며 늘어나는 패치 형태의 소자를 흉부에 부착해 연속적인 혈압 정보를 실시간 제공하는 센서 기술이다.

본 기술은 기존 착용형 혈압 측정기 대비 사용 편의성이 우수하고, 혈압뿐 아니라 심전도, 체온 등 장시간 생체신호 변화에 대한 모니터링이 가능한 융복합 센서 기술이다.

기존 혈압측정은 앉아서 움직임을 최소로 한 상태에서 하지만, 본 기술은 서 있거나 움직이는 상태에서 혈압측정을 하더라도 정상적인 범위 내에서 측정이 가능하다. 또한, 선 없이 측정할 수 있어 편의성을 높였다. 향후 스마트 병상 모니터링이나 외래 환자 대상 홈/데일리케어 서비스 분야의 응용을 기대하고 있다.

아울러 ETRI는 대한민국의 반도체 강국 신화를 이끈 반도체 실험실인 팹(Fab)을 기반으로 활발히 진행 중인 다양한 사업도 소개한다.

ETRI는 반도체 분야 인재 양성을 위한 협업 기관으로 선정되어 지난해부터 반도체 설계 부트캠프를 운영하고 있다. 대학 및 기업과 연계해 교육부 첨단산업 부트캠프 참여 대학의 학생을 대상으로 현장 직무 중심의 반도체 설계 교육과정을 운영한다. ETRI는 보유한 반도체 실습 장비와 인프라, 노하우를 바탕으로 향후 국가 반도체 인력을 양성하는 데 크게 기여할 전망이다.

민옥기 ETRI 초지능창의연구소장은 “그동안 ETRI 연구진의 노력으로 개발된 유의미한 성과들을 국민에게 공개함으로써 나노기술에 대한 이해를 높이고 기술 상용화에 좀 더 다가가는 계기로 만들겠다”고 말했다.

©(주) 데일리안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1
0
+1
0
+1
0
+1
0
+1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