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日인프라로 만들라”, “책임지고 하겠다”…라인야후에 무슨일이

94

행정지도 조치 시기에 만난 손정의·자민당…日 마이니치 신문 21일 보도

집권 자민당 인사 “통신 인프라 모두 일본서 해야”…노골적 목소리

네이버는 조심조심…길어지는 ‘침묵’

손정의 소프트뱅크 회장ⓒ뉴시스

일본 집권 자민당 인사가 손정의(일본명 손 마사요시) 일본 소프트뱅크그룹(SBG) 회장을 불러 ‘라인야후를 일본 인프라로 해야 한다’고 주문했다고 마이니치신문이 21일 보도했다. 여기에 손 회장은 “내가 책임지고 하겠다”고 답한 것으로 전해졌다.

보도에 따르면 손 회장과 자민당의 아마리 아키라 경제안전보장추진본부장은 일본 총무성이 51만건의 개인정보 유출을 이유로 라인야후에 사이버 보안 강화를 요구하는 두 차례 행정지도를 한 지난 3∼4월께 만났다. 이 행정지도에는 라인야후의 자본 관계 재검토 요구가 포함돼 일본이 라인야후 모기업인 네이버에서 경영권을 빼앗으려는 것이 아니냐는 논란이 제기됐다. 아마리 본부장은 당시 손 회장에게 “방법은 그쪽이 선택하겠지만 일본의 인프라는 앱 개발부터 모두 일본 국내에서 할 수 있도록 해달라”고 말했고손 회장은 “내가 책임을 지고 하겠다”고 답했다.

일본에서는 라인 이용자가 인구 1억2300만명 중 9800만명(80%)이 사용하는 ‘국민 메신저’가 된 상황에서 민감한 정보 관리를 한국 기업의 시스템 아래에 두는 것이 적절하냐는 목소리가 꾸준히 나왔다. 라인야후 주식은 네이버와 소프트뱅크가 설립한 합작법인 A홀딩스가 약 65%를 보유하고 있다. 소프트뱅크와 네이버의 A홀딩스 지분율은 각각 50%다.

최수연 네이버 대표ⓒ데일리안 박진희 그래픽디자이너

특히 일본 정부는 지난해 11월 네이버 클라우드(가상서버)를 통해 일본인 개인정보 51만건이 유출되는 사건을 계기로 아마리 본부장외에 다카이치 사나에 일본 경제안전보장담당상과 코바야시 타카유키 전 안전보장담당상이 언론 인터뷰 등을 라인과 네이버 간 연결고리를 끊어야 한다는 목소리를 노골적으로 내왔다.

경제안전보장담당상은 일본 정부가 내각의 경제안보 분야를 총괄하기 위해 2021년 신설한 직책이다. 일본의 국가안전보장국(NSS·국가안보실 격)을 소관 부처로 해서 총무성, 외무성, 방위성, 경제산업성, 재무성, 문부과학성, 경찰청, 공안조사청, 금융청 등에 대한 관련 업무를 총괄·지시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한편 전날 소프트뱅크 주주총회에 모습을 드러낸 손 회장은 라인야후 지분 문제에 침묵했다. 이날 주주총회장에서 라인야후 관련 질문은 나오지 않았다. 다만 미야카와 CEO가 20일 열린 주주총회에서 “(네이버와) 아직 합의에 이르지 못했고 계속 논의하겠다”고 말했다. 반면 네이버는 “중장기 전략에 기반해 라인야후 지분 매각 건을 검토하고 있다”는 입장 외에는 이렇다 할 대응 방안을 내놓지 않고 있다. 일본 총무성이 제시한 데드라인은 7월1일까지다.

©(주) 데일리안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1
0
+1
0
+1
0
+1
0
+1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