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경일 파주시장, 탈북민 대북전단 살포 항의 중단시켜..일부 풍선은 이미 살포

20

경기 파주시는 김경일 파주시장이 지난 20일 밤 탈북민단체 자유북한운동연합의 대북전단 살포 현장을 직접 찾아가 전단살포 중단을 요구하며 강력히 항의한 끝에 추가적인 전단살포를 막아냈다고 밝혔다.

ⓒ파주시 제공

자유북한운동연합의 박상학 씨는 월롱면 소재 남북중앙교회 인근 공터에서 오후 10시 10~39분 사이에 대북전단을 실은 풍선 10점(추정)을 살포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 소식을 보고받은 김경일 시장은 오후10시 35분 현장을 직접 찾아가 전단 살포 행위에 대해 강하게 항의하며, 즉각 중단할 것을 요구했다. 북한을 자극하는 대북전단 살포로 포사격 등 북한의 도발이 심각히 우려된다는 판단에서다.

그럼에도 단체 측은 풍선에 가스를 주입하며 추가 살포를 강행하겠다는 뜻을 굽히지 않았고, 김 시장이 온몸으로 막아서며 저지하자 가스통이 실린 화물차에 있던 연장을 가리키며 ‘확 때려 버리겠다’라며 맞서는 등 위협적인 언행도 서슴지 않았다.

양측의 입장이 팽팽하게 맞선 가운데 30여 분 가량의 실랑이가 이어진 끝에 자유북한운동연합측은 결국 추가살포를 중단하고 철수했다.

탈북민 박상학 씨가 이끌고 있는 자유북한운동연합 측은 지난 5월 10일과 6월 6일에도 북한을 대북전단 풍선을 살포한 바 있다. 지난 5월 말부터 2주 가까이 이어진 북한의 오물풍선 살포가 바로 이들의 대북전단 살포에 대한 보복성 조치였다.

앞서 김경일 시장은 20일 국회소통관에서 기자회견을 열어 국민의 생명과 안전을 지키기 위해 대북전단 살포행위를 즉각 중단해 줄 것을 호소한 바 있다.

김 시장은 남북 간 군사적 긴장이 높아지면서 파주 접경지역 주민들의 생업과 안전이 위협받고 있는 상황을 더 이상 방관하지 않겠다며 시민의 안전을 위해 경찰과 군, 경기도 특사경과 예방활동을 강화하고, ‘위험구역’ 설정을 검토하겠다는 뜻도 밝혔다.

파주시는 재난 및 안전관리 기본법 제41조(위험구역의 설정)를 근거로 파주 전역에서 벌어지는 대북 전단 살포 행위를 단속 및 금지시키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

지난 2020년 6월 파주시, 연천군, 김포시, 포천시, 고양시 전역을 경기도지사 권한으로 위험구역을 지정해 대북전단 살포 관계자 출입을 통제하고 대북전단 등 관련 물품을 준비, 운반, 살포, 사용 등을 금지시킨 바 있다.

©(주) 데일리안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1
0
+1
0
+1
0
+1
0
+1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