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일해 확산 경보, 영유아 및 고위험군 예방접종 필요

61
출처 : 질병관리청
출처 : 질병관리청

질병관리청(청장 지영미)은 국내에서 생후 2개월 미만 영아가 백일해로 사망하는 사례가 발생함에 따라 고위험군의 적극적인 예방접종을 당부했다.

이번 사망 사례는 지난 4일(월) 발생했다. 생후 2개월이 되지 않은 영아로, 백일해 1차 예방접종 전이었다. 기침, 가래 등 증상으로 의료기관 내원해 10월 31일 백일해 양성을 확인했다. 입원 치료를 시행했으나 증상이 악화돼 11월 4일 사망했다.

영유아, 소아청소년 환자가 90% 이상

백일해는 ‘발작성 기침’을 특징으로 한다. 11월 1주차 기준 총 3만332명의 환자가 신고됐으며, 7세~19세 소아청소년을 중심으로 전국적으로 유행하고 있다. 연령별 환자 수는 13~19세가 13,866명(45.7%)로 가장 많으며, 7~12세가 12,725명(42.0%)로 그 뒤를 잇는다. 소아청소년 환자가 총 26,591명으로 전체 환자의 87.7%를 차지한다.

0~6세 영아 및 어린이의 경우 1,008명으로 전체 환자의 3.3%지만, 지난 8월 이후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는 추세라는 점에서 경계가 필요하다. 1세 미만 영아의 경우 10월 초 주당 2~4명 신고되었으나, 10월 말에는 12명이 신고됐다.

환자 수 증가, 어린이 사망 사례 발생

전 세계적으로 백일해가 유행하면서, 사망자 수도 함께 보고되고 있다. 영국에서는 지난 9월까지 백일해 누적 환자가 13,952명 발생했다. 6월 이후 감소하는 추세를 보이고 있으나, 지난 금요일(8일)을 기준으로 영아 10명이 사망한 바 있다.

프랑스의 경우 올해 들어 13만 명 이상의 백일해 환자가 발생했다. 지난 9월 18일까지 총 35명의 사망자가 발생했으며, 사망자 중 소아가 22명, 그 중에서도 20명이 1세 미만 영아였다. 미국의 경우는 올해 22,273명의 환자가 발생했다. 이는 전년도 4,840명에 비해 4.6배 증가한 수치다. 1세 미만 사망 사례의 경우 2022년 1명, 2023년 2명이 보고된 바 있다.

백일해 유행, 고위험군 예방접종 독려

질병관리청은 전 세계적으로 백일해가 유행하는 상황임을 알리며, 감염 시 중증 합병증이 발생할 우려가 높은 고위험군 보호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특히 영아는 생후 2개월에 백일해 첫 접종을 받게끔 돼 있다. 그 사이의 위험을 예방하기 위해, 백일해에 면역을 갖고 태어나는 것이 중요하다. 이를 위해서는 임신 3기(27~36주)에 있는 임신부가 예방접종을 반드시 받아야 한다.

생후 12개월 미만 영아의 경우, 생후 2개월·4개월·6개월에 맞춰 예방접종을 하는 것이 중요하다. 1차 접종과 2차 접종 사이에는 최소 4주의 간격이 필요하다. 3차까지는 기초 접종에 해당하며, 4차 이후로는 추가 접종이지만 현재 상황에서는 보다 적극적인 접종이 필요할 것으로 풀이된다.

그 외에 질병관리청은 면역 저하자, 중증 이상의 만성폐쇄성 폐질환자 등 고위험군 역시 접종이 필요하다. 영유아의 부모, 돌보미, 산후조리원 근무자, 의료종사자 등도 유행상황을 고려해 백신 접종을 받을 것을 당부했다. 고위험군과 접촉하기 최소 2주 전 접종이 필요하다.

또한, 질병관리청에서는 백일해가 소아청소년 연령대를 중심으로 크게 유행하고 있다는 점에 주목하고 있다. 적기 접종률이 상대적으로 낮은 11~12세에 대해 6차 접종을 적극적으로 독려하고 있다.

호흡기 감염병 확산에 대비할 것

질병관리청은 백일해 외에도 호흡기계 감염병이 유행하는 시즌인 만큼, 호흡기 관련 질환 예방 수칙을 강조했다. 특히 기침예절 실천 및 올바른 손씻기 습관, 실내 환기 중요성 등을 강조했다. 호흡기 증상이 있는 경우 마스크를 필히 착용하는 등, 다가오는 겨울을 앞두고 호흡기 감염병이 확산될 것에 대비하는 자세가 필요하다.

지영미 질병관리청장은 “정부에서는 최근 증가 추세인 0~6세 백일해 발생 상황을 면밀히 모니터링하고 있다”라며 “호흡기 감염병 관계부처 합동 대책반을 운영하여 대응해나갈 예정”이라고 밝혔다.

출처 : 질병관리청
출처 : 질병관리청

「본 기사는 질병관리청에서 2024년 11월 12일 작성하여 공공누리 제1유형으로 개방한 자료를 활용하여 작성되었습니다.」

+1
0
+1
0
+1
0
+1
0
+1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