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돈이 건강도 좌우…” 소득 따라 건강수명 격차 또 늘어났다

38

소득에 따른 건강수명 격차가 점점 더 벌어지고 있다.

최근 국회 보건복지위원회 소속 김남희 의원이 보건복지부로부터 제출받은 ‘국민건강증진종합계획’을 분석한 결과 소득 상위 20%와 하위 20% 간의 건강수명 격차가 10년 만에 7.1세에서 8.2세로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기사의 이해를 돕기 위한 사진 / chayanuphol-Shutterstock.com

이 분석에 따르면 2011년 소득 상위 20%의 건강수명은 71.8세였으나 2021년에는 73.4세로 1.6세 증가했다.

반대로 같은 기간 소득 하위 20%는 64.7세에서 65.2세로 0.5세 증가하는 데 그쳤다.

이런 건강수명 격차는 자살사망률, 치매 관리율, 고혈압 유병률 등 다양한 건강 지표에서도 나타났다.

여성 자살사망률의 경우 2018년 소득 상위 20%와 하위 20% 간의 격차가 인구 10만명당 8.9명이었으나 2022년에는 10명으로 증가했다.

치매 관리율 격차도 2018년 52.2%p에서 2023년 56.5%p로 커졌다. 여성의 암 발생률은 2018년 97.3명에서 2021년 117.4명으로 20.1명이나 격차가 더 벌어졌다. 남성의 경우 같은 기간 78.3명에서 79명으로 0.7명 증가했다.

고혈압 유병률에서도 소득에 따른 차이가 뚜렷했다. 남성의 경우, 2018년 소득에 따른 고혈압 유병률 격차가 5.4%p였으나 2022년에는 7.7%p로 증가했다. 남성 비만 유병률도 소득 1분위와 5분위 간 격차가 같은 기간 1.1%p에서 4.2%p로 벌어졌다. 이처럼 소득에 따른 건강수명 격차는 점점 더 벌어지고 있어 건강 불평등을 해소하기 위한 복지 시스템이 필요하다는 지적이 제기되고 있다.

김남희 의원은 “기대수명은 점점 늘어나고 있지만 소득을 이유로 건강 양극화가 심해지고 있다”며 “모두가 존엄하게 살아갈 권리가 있는데 소득, 지역 등을 이유로 국민들의 건강까지 불평등해지는 것은 옳지 못하다. 지역별 균등한 의료시스템 편성과 더 보편적인 복지 시스템의 구축을 지향해야 한다”고 말했다.

기사의 이해를 돕기 위한 사진 / SGr-Shutterstock.com

한편 병원 대기 시간이 늘어났는데도, 진료 시간은 여전히 짧은 걸로 드러났다.

최근 박희승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전국 국립대병원 16곳에서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지난 6월 기준 외래 환자 대기일수는 평균 23.8일이었다. 이는 2019년부터 2023년까지의 평균치인 18.5일보다 29% 증가한 수치다.

서울대병원 다음으로 대기 시간이 긴 곳은 분당서울대병원이 53.7일, 전남대병원 본원이 43.2일, 화순전남대병원이 28.8일이었다.

대기 시간은 이렇게 늘어났지만, 환자 1인당 진료 시간은 올해 7.4분으로 평소와 비슷한 수준이었다. 진료 시간이 가장 짧은 곳은 부산대병원 본원으로 4.9분이다. 분당서울대병원이 5.4분, 서울대병원 본원이 6.3분이었다.

서울대병원 측은 “전공의 이탈로 인해 외래진료 대기 기간이 길어진 것은 사실이다”라며 “이를 해결하기 위해 다양한 방안을 모색 중”이라고 밝혔다

반대로 진료 시간이 비교적 긴 곳은 전남대병원 본원으로 11분이었다. 이어 전북대병원이 9.8분, 강원대병원이 8.5분이었다.

입원과 수술 대기 기간도 늘었으나, 소요 시간은 비슷했다. 응급 수술과 입원이 바로 가능한 제주대병원을 제외한 15곳의 올해 6월 기준 입원 대기일수는 평균 12.2일로, 최근 5년 평균 10.8일보다 소폭 증가했다.

[위키사주] 고민해결 오늘의 운세 보러가기

+1
0
+1
0
+1
0
+1
0
+1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