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화점서 1600만원 주고 샀다가 바로 되팔면 3배 받는 ‘이 가방’

28

돈 있어도 구매하기 힘들다는 이 가방

원가는 1600만 원이지만 리셀 업체에서는 4500만 원에 판매

에르메스 공식 홈페이지

희소성 높은 명품 가방이 중고 시장에서 매장가의 2~3배 가격으로 판매되는 것으로 알려졌다.

지난 23일(현지 시간) 월스트리트저널(WSJ)은 “세계에서 가장 탐나는 핸드백의 미친 경제학”이라는 제목의 기사를 통해 이러한 현상을 조명했다.

보도에 따르면 에르메스의 기본형 검정 가죽 ‘버킨백25’는 미국 매장에서 1만 1400달러(한화 약 1600만 원)에 판매되고 있다. 

그러나 구매자는 구매 직후 리셀 업체에 2배가 넘는 2만 3000달러(한화 약 3200만 원)에 넘길 수 있다.

리셀 업체는 해당 가방을 사들인 후 다시 곧바로 SNS나 라스베이거스의 팝업 매장을 통해 3만 2000달러(한화 약 4500만 원)에 판매한다.

결국 최종 구매자는 매장가의 3배가량의 돈을 주고 버킨백을 사는 것이다. WSJ는 해당 버킨백의 제조 원가는 1000달러(한화 약 140만 원)에 불과한 것을 감안하면 엄청난 마진이라고 설명했다.

에르메스의 버킨백은 희소성 높은 상품으로 유명하다. 부유층이 많은 곳일수록 경쟁이 심해 더욱 희소가치가 높아진다.

WSJ는 “세계에서 가장 인기 있는 가방을 손에 넣는 것은 생각보다 훨씬 더 복잡하다”며 “이런 특이한 경제법칙이 소비자와 매장 직원 간의 일반적인 힘의 균형을 뒤집어 놨다. 에르메스 부티크에서는 구매자가 고개를 숙이게 된다”고 설명했다.

이런 현상이 벌어지는 이유는 판매 직원이 수많은 구매 대기자 중 누구에게 버킨백을 판매할지를 결정하기 때문이다.

버킨백을 구매하려는 고객은 직원에게 잘 보이기 위해 집에서 만든 쿠키를 가져오는 사례도 있고 비욘세 공연 티켓이나 호화 여행 상품권이 동원되기도 한다.

이후에는 에르메스 매장에서 1억 원가량의 구매 이력을 쌓아야 한다. 이런 과정을 거쳐도 구매자는 색상 선택권이 없기 때문에 자신이 원하는 색상을 구매하기 위해 중고 시장을 이용하기도 한다.

미 캘리포니아의 소비자 2명은 지난 3월 에르메스의 이 같은 판매 방식이 시장지배력을 남용한 끼워팔기에 해당한다며 독점금지법 위반 소송을 제기하기도 했다.

에르메스 공식 홈페이지

다만 에르메스 측도 구매자들이 버킨백을 더 높은 가격에 판매하는 것을 막고자 다양한 방법을 강구하고 있다. 올해 초 버킨백 가격을 20% 인상한 것도 그 일환이다.

하지만 당초 리셀 업체들이 타격을 입을 것이란 관측과 달리 업체들은 별다른 손해 없이 가격 인상을 고스란히 구매 고객에게 전가하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버킨백 생산량을 늘리는 것이 해답이 될 수 있지만 동시에 버킨백의 희소성이 떨어지기 때문에 이 또한 쉽지 않은 상황이다.

실시간 인기기사

+1
0
+1
0
+1
0
+1
0
+1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