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이 이정도일줄 몰랐다”..몽골 간 일본인 유튜버, ‘화들짝’ 놀란 사연은?

227
“한국어로 말해도 다 통한다”?
몰라보게 변한 울란바토르의 풍경은?
몽골
출처 : 게티이미지뱅크-좌 (이해를 돕기 위한 사진) / 온라인커뮤니티-우

해외여행을 갔다가 한국어로 대화할 수 있는 현지인을 만나거나 한국어로 쓰인 가게를 마주치는 것보다 더 반가운 일은 없을 것이다.

최근 한국어로 인사하는 현지인은 물론이고, 한국 편의점 등 익숙한 가게를 쉽게 만나볼 수 있는 몽골의 풍경을 담은 영상이 공개되며 화제가 되고 있다.

“여기 알고 보니 신논현?” 울란바토르 시내 보고 ‘깜짝’

지난 19일 유튜버 ‘유이뿅’의 채널에 ‘한국어가 그냥 통해버리는 신기한 몽골’이라는 제목의 영상에 올라왔다.

몽골
출처 : 뉴스1

대한민국에서 활동하는 일본인 유튜버인 유이뿅은 해당 영상에서 몽골로 여행을 떠났다. 영상 초반부터 그는 “여기 한국 사람 너무 많아서 한국인 줄 알았다”고 이야기했다.

택시 트렁크에 캐리어를 대신 들어주는 현지인 택시 기사는 “이거 너무 무거운데”라며 능숙하게 한국어를 구사했다.

택시에 오른 유이뿅은 “이번에 몽골에 씨유(CU)가 생긴다고 들었다”고 말하자 택시 기사는 “씨유는 300개 있다”며 “GS25는 200개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택시 차창 밖으로 보이는 풍경에는 커다란 간판이 서 있었는데, ‘포장이사는 역시 KGB’라고 한국어로 광고가 적혀 있기도 했다.

몽골
출처 : 뉴스1

유이뿅은 택시 기사에게 “몽골에서 한국어로 욕을 하면 다 알아듣는다는데 사실이냐”고 물었다.

이에 택시 기사는 “몽골 사람들은 거의 다 한국 가서 일하는 사람들”이라며 “그곳에서 배워온다”고 설명했다.

“몽골에서는 한국 음식을 잘 만들면 정말 좋다”며 요리 사업을 함께 하자는 너스레를 떨기도 했다.

몽골의 수도인 울란바토르를 담은 풍경에는 한국에서도 쉽게 볼 수 있는 편의점 씨유와 GS25를 발견했다.

몽골
출처 : 뉴스1

편의점에 방문하자 아이스크림의 포장지에는 한국어로 상표명이 쓰여있기도 하고, ‘서울우유’와 같은 유제품도 놓여 있었다.

편의점에서 나와 CJ그룹에서 운영하는 헬스&뷰티 스토어 올리브영을 방문하자, 그곳에서도 한국 제품들을 쉽게 발견할 수 있었다.

유이뿅은 울란바토르의 거리를 걸으며 “약간 신논현 느낌”이라고 말하는 등, 한국과 매우 비슷해 보이는 몽골의 풍경에 신기함을 표현했다.

식당에서 마주친 손님은 한국에서 1년간 살다가 돌아온 유학생이라며 유창한 한국어로 유이뿅에게 메뉴를 추천해 주었고, 유이뿅은 깜짝 놀라는 반응을 보였다.

몽골
출처 : 뉴스1

그외에도 현대에서 만든 자동차를 마주치거나 가판대에서 신라면과 김치찌개를 발견하기도 하고 한국에서처럼 종이컵에 오뎅 국물을 담아주는 간이음식점을 방문하기도 했다.

한식, 한국어, 한류… K-열풍은 현재진행형

실제로 몽골은 ‘몽골’과 ‘동탄 신도시’를 합쳐 부르는 ‘몽탄 신도시’라는 신조어가 생길 정도로 한국의 브랜드들을 쉽게 발견할 수 있다.

K-유통 열풍과 한류 열풍에 힘입어 한국의 문화를 알리는 ‘한국 주간 행사’가 몽골의 3대 축제로 자리매김하기도 했다.

몽골
출처 : 게티이미지뱅크 (이해를 돕기 위한 이미지)

한류 열풍은 몽골에서만 불고 있는 것이 아니다. 네팔, 베트남과 같은 국가에서도 한류는 현재진행형이다.

네팔에서 두 번째로 큰 도시 포카라에서는 한국어를 배우려는 학생들이 날이 갈수록 늘고 있으며, 한 해에 9만 명 이상이 한국어 시험에 응시한다.

베트남 노동보훈사회부 산하의 해외노동센터에 따르면, 2023년 한국어능력시험에 응시한 베트남인은 2만 명에 달했다.

이는 최근 10년을 통틀어 최대 인원으로, 해를 거듭할수록 늘어갈 것이라는 전망이 나오고 있다.

몽골
출처 : 뉴스1

이처럼 아시아 국가들에서 한류, 그리고 한국 물품에 열광하는 이유는 한국에 대한 신뢰가 두터워졌기 때문이라고 추측할 수 있다.

한류 열풍과 함께 한국 문화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품질이 좋고 합리적인 가격의 한국 제품에 대한 신뢰가 밑바탕이 된 것이다.

더 나은 사회를 꿈꾸는 주변국의 엘리트들에게 한국은 기회의 땅이라는 인식 또한 만연하다.

이 변화의 중심에는 한국에서 일하다가 온, 혹은 한국에서 공부하다가 온 노동자들과 유학생이 있다.

본국에 돌아가서도 한국 제품을 사용하고 한국 문화를 전파하는 등, 한국의 소프트 파워를 키우고 있는 주역들이다.

해외 이주 노동자들, 유학생들과의 적극적인 교류를 통해 한국을 글로벌에서 인정받는 국가로 만들기 위한 고민이 필요하다.

실시간 인기기사

+1
0
+1
0
+1
0
+1
0
+1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