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유자조금, ‘식물성 우유’ 등 오표기 바로잡기 활동 지속

우유자조금관리위원회는 ‘대체우유’, ‘식물성 우유’ 등 식물성 음료를 ‘우유’로 잘못 표기하는 사례를 바로잡기 위한 활동을 적극적으로 펼치고 있다고 16일 밝혔다.
식물성 음료 우유 오표기 바로잡기 활동은 소비자의 혼란을 방지하고, 정확한 식품 정보 전달을 위한 노력의 일환이다.
식물성 음료를 ‘우유’로 표현하는 경우, 소비자가 해당 제품을 실제 우유의 대체재로 인식할 우려가 있다. 주요 오표기 사례로는 ‘아몬드 우유’, ‘귀리 우유(오트 밀크)’, ‘식물성 우유’ 등이 있으며, 이러한 표현은 제품의 성격과 주요 성분에 대한 오해를 유발할 수 있다.
우유는 100% 원유로 만들어진 동물성 식품이다. 최소한의 가공만 거친 1군 식품에 해당하며 단백질과 칼슘 등 필수 영양소를 공급하는 천연 식품이다.
반면 식물성 음료는 곡물이나 견과류 등을 여러 단계로 가공해 제조되며, 영양성분과 제조 방식에서 우유와 본질적인 차이를 가진다.
위원회는 이러한 표현들이 부적절하다고 판단하고, 관련 사례를 확인한 언론사와 기업을 대상으로 정확한 명칭 사용을 권고했다. 이 과정에서 식품위생법 제14조 식품공전과 식품의약품안전처의 정책을 근거로 한 정정 요청을 함께 전달하고 있다.
현행 식품공전은 ‘우유’를 원유를 살균 또는 멸균 처리한 100% 유제품으로 정의하고 있으며, ‘우유류’ 역시 유가공품 또는 유지방 성분을 조정한 제품으로 명확히 구분하고 있다. 반면 식물성 음료는 성분과 제조 기준에 따라 일반 음료류로 분류된다.
이에 식품의약품안전처는 2023년 11월 대체식품 표시 가이드라인을 통해 ‘우유’ 또는 ‘밀크’ 등의 표현이 오인 소지를 유발할 수 있다고 지적하며, ‘음료’라는 용어 사용을 권고하고 있다. 또한 식품의약품안전처고시 제2024-23호에서는 실제 포함되지 않은 원재료명을 제품 표기나 광고에 사용하지 않도록 명시하고 있다.
우유자조금관리위원회는 관련 법령과 가이드라인에 따라 2023년부터 식물성 음료 관련 오표기 사례를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하고 정정 요청을 해왔다.
그 결과, 지금까지 400여 건의 언론 보도 중 120건 이상 ‘식물성 음료’ 등으로 표현을 바로잡았다.
우유자조금관리위원회 관계자는 “올바른 제품 명칭 사용은 소비자의 알 권리를 지키고, 정확한 정보 전달을 위한 중요한 출발점”이라며 “앞으로도 국산 우유의 가치를 지키고 건강한 소비 환경 조성을 위해 노력할 것”이라고 밝혔다.
©(주) 데일리안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탄핵 승복, 퇴행은 대단히 잘못”…국민의힘, 송언석 원내대표 선출
- ‘내란 혐의’ 인사들 줄줄이 구속 만료 임박…특검수사 이후 전망은 [법조계에 물어보니 660]
- 이재명 대통령과 호흡 맞출 與당대표 8월 2일 뽑는다
- “이란, 극초음속 미사일로 공습”…이스라엘 방공망 ‘무용지물’
- [속보] 이스라엘, 이란 국영방송 공습… 생방송 앵커 긴급 대피
- “치유와 희망 얻길” 픽사 새 신작 ‘엘리오’가 전하는 진심 [D:현장]
- 교육 시장 노리는 LG전자, AI 전자칠판 신제품 출시
- 신혼부부 몰린 과천 ‘줍줍’…LH, 무순위 청약 접수 이틀 연장
- [시황] 오늘(17일) 코스피 3000 돌파할까
- 통계청, 여름방학 실용 통계교육 교사 연수
경제 랭킹 인기글
경제 최신 인기글
-
“피 같은 돈 21조 쪽쪽 빨아먹고도 모자랐나”… 대통령까지 ‘분노 폭발’, 서민들 등골 노린다
-
“대한민국은 역시 부동산의 나라인가” … 주식·코인보다 이곳에, ‘짠희’ 임원희도 선택한 투자처의 정체
-
“절반이 일반인과 결혼?” … 대기업 총수 자녀 최근 10년 변화, 외국인·일반 직장인 배우자 급증
-
“결국 사장이 없어도 돌아가는 회사” … 성공 사업가 DNA 분석, 시스템 구조화·자동화가 장기 성공 비결
-
한국 이겨보겠다더니 “이게 무슨 망신”… 예상 못한 전개에 중국 지도부까지 ‘허둥지둥’
-
“2040년엔 37.8%까지 증가” … 여성 가장 가구 급증, 경제적 현실과 미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