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것까지 로봇이 해주네??”, 현대, 성수동 오피스 건물서 로봇 서비스 개시

24

성수동 오피스에서
로봇 서비스 시작
로봇 배달부터 주차 로봇까지 편리한 환경 조성
안면인식으로 보안까지
책임지는 로봇 기술

성수동에 로봇 서비스 도입

현대·기아의 배달 로봇 '달이 딜리버리' - 출처 : 현대자동차 제공
현대·기아의 배달 로봇 ‘달이 딜리버리’ – 출처 : 현대자동차 제공

현대차그룹이 서울 성수동에 위치한 팩토리얼 성수 빌딩에서 로봇 서비스를 시작했다. 이지스 자산운용이 소유한 이 빌딩에서는 현대차·기아의 배달 로봇 ‘달이 딜리버리’와 현대위아의 ‘주차 로봇‘을 통해 첨단 로보틱스 기술이 적용된 서비스를 제공한다. 고객들이 모바일 앱을 통해 음료를 주문하면, 로봇이 직접 배달한다. 이 서비스는 로봇이 빌딩의 엘리베이터와 출입문을 스스로 제어해 고객이 위치한 사무실이나 회의실까지 음료를 배달해 준다.

사무실에서 손가락 하나로 커피 수령

현대·기아의 배달 로봇 '달이 딜리버리' - 출처 : 현대자동차 제공
현대·기아의 배달 로봇 ‘달이 딜리버리’ – 출처 : 현대자동차 제공

달이 딜리버리는 건물 내 엘리베이터와 출입문 등과 통신해 자유롭게 이동하며 음료를 배달한다. 99.9% 정확도의 안면 인식 기술을 통해 수령인을 확인하고, 트레이를 내밀어 음료를 전달한다. 이 로봇은 한 번에 최대 16잔의 커피와 10kg의 물품을 운반할 수 있어 업무 환경에서 큰 편리함을 제공할 것으로 기대된다. 로봇의 디스플레이를 통해 로봇의 상태를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어, 입주자들은 로봇의 동선을 쉽게 파악할 수 있다. 현대차·기아는 향후 달이 딜리버리의 수량을 늘리고, 택배나 우편물 배송 서비스까지 범위를 확장할 계획이다.

주차 로봇으로 주차 스트레스 해소

현대위아의 주차 로봇 - 출처 : 현대자동차
현대위아의 주차 로봇 – 출처 : 현대자동차

현대위아의 주차 로봇은 고객이 차량을 지정된 장소에 반납하면, 차량을 들어 올려 자동으로 주차 및 출차 서비스를 제공한다. 특히 로봇은 좁은 주차 공간에서도 차량을 자유롭게 이동시킬 수 있어 공간 활용성을 극대화한다. 로봇은 두께 110mm로 설계되어 어떤 차량에도 적용될 수 있으며, 라이다 센서를 통해 차량 바퀴의 크기와 위치를 정확히 인식해 들어 올릴 수 있다. 최대 2.2톤의 차량을 초속 1.2m의 속도로 주차할 수 있다. 이 시스템은 최대 50대의 주차 로봇을 동시에 관제할 수 있는 ‘스마트 주차 관제 시스템’도 함께 도입했다.

로봇 기술의 미래

로봇 안면인식 시스템 - 출처 : 현대자동차 제공
로봇 안면인식 시스템 – 출처 : 현대자동차 제공

현대차·기아는 이번 서비스를 시작으로 로봇 토탈 솔루션을 구축하며, 다양한 건물로 서비스를 확장할 계획이다. 또한, 올해 3분기부터는 전기차 충전 로봇과 연계한 서비스를 도입해 고객 편의를 더욱 높일 예정이다. 고객이 전기차를 지정된 장소에 놓고 사무실로 들어가면, 주차 로봇이 차량을 충전 구역으로 이동시키고, 현대차·기아의 자동 충전 로봇이 차량을 충전하는 서비스를 제공한다. 현대차·기아는 로봇 기술이 공간 가치를 평가하는 중요한 기준이 되도록 서비스를 확대해 나갈 방침이다. 로봇의 안면 인식 시스템은 건물 출입 시스템에도 적용되어 보안과 편의성을 동시에 강화할 예정이다.

+1
0
+1
0
+1
0
+1
0
+1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