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100조 원 증발” 중국에다가 결국 못 참고 뱉었다는 트럼프의 ‘말 한마디’
나만 몰랐던 모든 이야기 조회수

“1100조 원 증발” 중국에다가 결국 못 참고 뱉었다는 트럼프의 ‘말 한마디’
미국과 중국의 무역 긴장이 다시 고조되면서 뉴욕 증시가 하루 만에 1100조 원 넘게 증발하는 초유의 사태가 벌어졌다. 현지시간 10일, 미국 주요 기술 기업들의 주가가 일제히 급락하며 시장 전체가 흔들렸다. 특히 엔비디아, 테슬라, 애플 등 글로벌 시가총액 상위 종목들이 급락세를 주도하면서 “트럼프발 관세 공포”가 다시 되살아났다는 평가가 나온다.

엔비디아·테슬라·애플, 줄줄이 폭락
시가총액 1위 엔비디아 주가는 전날 대비 4.85% 하락한 183.16달러에 마감했다. 장 초반에는 사상 최고가인 195.62달러까지 치솟았지만, 돌연 급락으로 돌아섰다. 이날 하루에만 시가총액 2,290억 달러, 한화 약 327조 원이 증발했다. 테슬라는 5.06% 급락하며 시총 710억 달러가 사라졌고, 애플 역시 3.45% 하락해 1,310억 달러 규모의 손실을 기록했다. 구글, 메타, 아마존, 마이크로소프트까지 동반 하락하며 기술주 전반이 패닉에 빠졌다.

7대 빅테크 하루 새 시총 1100조 원 증발
CNBC는 이날 하루 동안 미국 주요 7대 빅테크 기업의 시가총액이 총 7,700억 달러, 약 1,101조 원이 증발했다고 보도했다. 이는 지난 4월, 트럼프 대통령이 상호관세 부과를 발표하며 1조 달러가 날아갔던 이후 최악의 기록이다. 시장은 “트럼프가 한마디만 하면 1조 달러가 흔들린다”는 말을 다시 떠올렸다. 전문가들은 “기술주 중심의 미국 증시가 정치 리스크에 과도하게 반응하고 있다”며 “투자자 심리가 다시 위축되는 조짐”이라고 분석했다.

불씨가 된 트럼프의 SNS 한마디
문제의 발언은 트럼프 대통령의 소셜미디어 ‘트루스소셜’에 올라온 글에서 비롯됐다. 그는 “매우 이상한 일들이 중국에서 벌어지고 있다”며 중국의 희토류 수출 통제 움직임을 비판했다. 이어 “중국은 세계 각국에 서한을 보내 희토류 생산과 관련된 모든 요소에 대해 수출 통제를 예고하고 있다”고 밝혔다. 이 발언 직후 시장은 즉각 반응했고, 투자자들은 미·중 무역 갈등의 재점화를 우려하며 대규모 매도에 나섰다.

결국 나온 ‘100% 추가 관세’ 선언
트럼프 대통령은 이후 “중국이 이렇게 적대적으로 나오는 만큼, 미국은 대규모 관세 인상을 검토 중”이라고 언급했다. 이어 “다음 달 1일부터 중국산 제품에 100%의 추가 관세를 부과하겠다”고 공식 발표했다. 이는 단순한 발언을 넘어, 미·중 기술전쟁의 새로운 국면을 예고하는 조치였다. 전문가들은 “트럼프의 관세 발언이 단기적으로는 물가와 공급망 불안을 키울 수 있다”며 “정치적 압박이 금융시장을 자극한 전형적인 사례”라고 진단했다.

핵심 정리
1 트럼프 대통령의 SNS 발언 이후, 미국 빅테크 시총이 하루 새 1100조 원 증발했다.
2 엔비디아·테슬라·애플 등 주요 기술주가 동반 급락하며 시장 불안을 키웠다.
3 트럼프는 “중국이 희토류를 통제하고 있다”며 중국의 적대적 행보를 공개 비판했다.
4 이후 “중국산 제품에 100% 추가 관세를 부과하겠다”고 공식 발표했다.
5 전문가들은 이번 사태를 정치 발언이 직접 시장을 흔든 대표적 사례로 평가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