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우리나라는 흔히 분리수거 강국이라고 불린다. 그만큼 쓰레기를 버릴 때 지켜야 할 분리배출 가이드 라인이 잘 짜여져 있다는 뜻이고, 실제로 잘 이뤄지고 있기도 하다.
하지만 분리배출을 하다 보면 이 방법이 맞는 건지 헷갈릴 때가 종종 있다. 그렇다고 그냥 내놓자니 환경 오염과 쓰레기 처리 비용이 늘어간다는 소식이 자꾸만 신경쓰인다. 그런 경우를 대비해, 헷갈리기 쉬운 분리배출 방법 4가지를 알아본다.
1. 얇게 가공한 ‘알루미늄 호일’… 캔과는 다르다

알루미늄 호일은 말 그대로 알루미늄으로 만들어진 물건이다. 그런데 알루미늄은 음료나 통조림 등 캔을 만들 때도 쓰이는 금속이기 때문에, 간혹 가다가 알루미늄 호일도 캔으로 배출해야 하는지 헷갈릴 때가 있다.
하지만 알루미늄 호일은 캔으로 분류해선 안된다. 알루미늄 호일은 얇게 특수 가공되었기 때문에 다른 알루미늄 제품처럼 재활용하는 게 불가능하기 때문이다. 쿠킹호일은 재질에 관계 없이 모두 일반쓰레기로 분류되며, 알루미늄 호일 역시 예외는 아니다.
단, 호일 패키지에 붙어있는 호일 분리용 칼날은 분리해서 캔류로 분리배출해야 한다. 이때 칼날에 다치치 않도록 집게나 가위 등 도구를 이용해 돌돌 말아 분리하도록 해야 한다.
2. 절대 그냥 버려선 안되는 ‘의약품’… 환경 문제 유발할 수도

약을 먹다보면 여러 이유로 투약을 종료하거나 유통기한이 지나버려 약을 버려야 할 때가 있다. 이때, 약을 그냥 일반 쓰레기로 버리는 경우가 많은데, 이는 잘못된 행동이다.
약물에는 다량의 화학 성분이 들어있고, 이를 일반 쓰레기로 버리면 토양과 수질 오염을 야기해 환경에 악영향을 끼치게 될 가능성이 높다. 의약품을 버릴 때는 반드시 가까운 약국이나 주민센터 등에 설치된 의약품 수거함에 배출해야 한다.
3. 깨지는 물건이라고 전부 ‘유리류’가 아냐… 별도 마대 구입 필요

유리류 수거함은 흔히 ‘깨지는 물건’을 버리는 곳으로 인식되기 쉽다. 그래서인지 이따끔씩 거울, 도자기, 화장품 용기, 내열용기 등의 물건을 유리로 취급해 배출하는 경우가 보인다.
하지만 이런 물품들은 재활용 공정에서 문제가 발생하기 때문에 유리류로 분리배출이 불가능하다. 해당 물품은 특수마대를 별도 구입한 뒤 버려야 한다.
또한, 유리류를 분리배출할 때 깨진 유리를 그냥 버리는 경우가 있는데, 이러면 수거 과정에서 유리 파편이 마대를 찢고 나와 부상을 유발할 수 있다.
따라서 깨진 유리는 반드시 신문지나 종이 등을 이용해 감싼 뒤, 풀리지 않도록 고정해 일반 쓰레기로 배출해야 한다. 이때, 부상 방지를 위해 쓰레기 봉투에 깨진 유리가 있음을 표시해두는 것을 잊어선 안 된다.
4. ‘업소용 랩’은 일반 쓰레기… 재활용 불가능

음식물을 포장할 때 자주 쓰이는 랩은 비닐류로 분리배출이 가능하다. 원할한 분리수거를 위해 음식물이나 내용물은 분리한 뒤 깨끗이 헹군 후 말려서 버리면 더욱 좋다.
하지만 업소용 랩은 분리배출이 불가능하다. 배달음식, 마트에서 사용하는 포장용 랩, 간식용 소시지 등 상온 유통 제품에 쓰이는 랩은 거의 업소용 랩이다. 업소용 랩은 PVC(폴리염화비닐)로 만들어지는 경우가 많은데, 이 재질로 만들어진 비닐은 재활용이 불가능하다.
따라서 배출 시에는 반드시 일반 쓰레기로 배출해야 하며, 가능하면 사용을 지양하는 편이 좋다.
- “5월에 꼭 들르세요…” ‘가장 예쁜 축제’가 열린다는 서울 시내 꽃놀이 명소
- “고소하고 달콤하다…” 익혀 먹으면 더 맛있다는 ‘고급 제철 채소’
- 가죽나물 힘들게 먹지 마세요… 이 방법은 남아나질 않는 밑반찬입니다
- ‘생방송 투데이’ 닭갈비 맛집 위치
- ‘생생정보’ 한우 고기 맛집 위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