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투어코리아=하인규 기자] 서울 동대문구(구청장 이필형, 이하 ‘구’)는 장애인의 삶의 질 향상을 위해 삼육서울병원과 함께 자택 기반 로봇 재활 프로그램의 효과를 분석하는 공동 연구를 마쳤다고 25일 밝혔다.
이번 연구는 2023년 4월부터 올해 1월까지 약 2년간 이동이 불편한 장애인을 대상으로 진행됐다.
로봇 재활 기기를 자택에 대여하고 자율적으로 재활 운동을 수행하도록 지원한 뒤, 그에 따른 기능 향상 효과를 분석한 것이다.
연구의 목적은 장애인이 일상 속에서 꾸준히 실천할 수 있는 현실적인 재활 모델을 마련하는 데 있다.
연구는 관내 뇌병변 및 지체장애인 30명을 대상으로 진행됐다.
참여자들은 각 가정에서 주 3회, 8주간 재활 운동을 수행하고. 보건소 소속 물리·작업치료사와 삼육서울병원 의료진은 원격 모니터링과 정기 방문 상담을 통해 재활 진행 상황을 점검하고, 전문가의 지속적인 피드백을 제공했다.
사용된 로봇 재활 기기는 팔꿈치, 손목, 무릎, 발목 등 4개 관절에 적용 가능하며 ▲수동 관절운동 ▲근력 운동 기능을 갖추고 있다.
특히 보조값과 저항값을 1~10단계로 조절할 수 있어, 개인별 맞춤형 근력 운동이 가능한 것이 특징이다.
연구 결과, 만성 장애를 가진 환자들의 상지 기능 향상과 보호자의 돌봄 부담 감소에 대해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개선 효과가 확인됐다.
로봇 재활 프로그램은 장애인 본인뿐 아니라 가족 구성원에게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으며, 특히 보호자의 정신 건강에도 기여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돌봄 부담 경감이라는 측면에서 중요한 사회적 의미를 지닌 연구로 평가된다.
이필형 동대문구청장은 “로봇 재활 프로그램은 가족의 삶의 질 개선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는 점에서 매우 의미 있다.”며 “앞으로도 지역사회 의료기관과 협력해 장애인들과 가족들이 더 나은 삶을 누릴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라고 말했다.
앞서 구는 2023년 2월 전국 최초로 로봇 재활 기기를 직접 가정에 전달해 운영하는 ‘찾아가는 로봇 재활 서비스’를 시작했다.
이번 연구는 해당 서비스의 효과성과 지속 가능성을 학문적으로 검증하기 위한 국내 첫 사례이기도 하다.
연구 결과는 국제 오픈 액세스 학술 출판사 MDPI(Multidisciplinary Digital Publishing Institute)에서 발행하는
- 진에어, 한서대∙인하공전과 ‘미래 항공 인재 양성’ 맞손
- LG전자, 12년 연속 글로벌 OLED TV 시장 1위 자리 공고히
- iM뱅크, 소상공인 맞춤형 자문그룹 ‘iM소호엔젤’ 출범
- 알래스카에어그룹, 하와이안항공의 인천-시애틀 직항 9월 13일 취항
- 미래에셋증권, 퇴직연금 실물이전 제도 시행 ‘1조원’ 머니무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