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7년까지 2만t 이상 SAF 공급

SK에너지는 지난 10일 홍콩 캐세이퍼시픽항공과 2027년까지 2만t 이상의 지속가능항공유(SAF)를 공급하는 계약을 체결했다고 11일 밝혔다.
앞서 캐세이퍼시픽은 지난해 11월부터 인천국제공항에서 출발하는 모든 항공기에 SK에너지가 공급하는 SAF를 넣기 시작했다. 두 회사는 앞으로 SAF 사용 노선을 확장해 나갈 계획이다.
이로써 SK에너지는 지난 1월 유럽에 SAF를 수출한 지 2개월여 만에 홍콩 최대 민항사와 안정적인 SAF 공급 계약을 맺는 성과를 올렸다.
아시아·태평양 지역은 국내 정유사 수출물량의 80% 이상을 차지하는 최대 거점 시장이다. 홍콩 첵랍콕국제공항은 지난해 전 세계 여행객 수 5위를 기록한 아태 지역 주요 환승 허브로, SK에너지는 이번 계약을 계기로 지역 SAF 시장 공략에 속도를 낼 방침이다.
SK에너지는 지난해 9월 연산 10만t 수준의 저탄소 제품 대량 생산체계를 갖추고 코프로세싱(Co-Processing) 방식으로 SAF 상업 생산에 착수했다. 코프로세싱은 기존 석유제품 생산 공정 라인에 별도의 바이오 원료 공급 배관을 연결해 SAF와 바이오납사 등 저탄소 제품을 생산하는 공정이다.
글로벌 SAF 수요는 2021년 국제항공운송협회(IATA)가 2050년까지 항공 업계 이산화탄소 배출량을 2005년 대비 50%까지 감축하는 결의안을 통과시킨 이후 지속적으로 성장해왔다. SAF 사용을 의무화한 유럽과 미국에 이어 한국 정부도 2027년부터 국내에서 출발하는 모든 국제선 항공편에 SAF 혼합을 의무화하는 방침을 발표했다.
이영철 SK에너지 마케팅본부장은 “국내외 SAF 정책 변화와 수요 변동 등 시장 상황을 면밀히 모니터링하면서 다양한 전략적 파트너사들과 협력해 안정적인 글로벌 SAF 공급망을 구축해 갈 것”이라고 말했다.
©(주) 데일리안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尹 석방 환영했지만…’딜레마’ 빠진 국민의힘 지도부
- ‘마은혁 임명’ ‘명태균 거부권’…최상목 대행도 운명의 일주일 [정국 기상대]
- 수원 아파트서 40대 남성 투신 사망…집엔 아내·자녀 숨진 채 발견
- 서희원 母 “더 이상 버틸 수 없어”…또 구준엽 저격?
- 활동반경 좁아진 이재명…비명계 통합 행보 숨고르기에 여론전만
- [특징주] 테슬라 폭락 직격탄…LG엔솔 등 2차 전지주 줄줄이 내림세
- 리모컨에도 AI 기능 탑재, LG전자 TV 신모델 라인업 출시
- 건설·주택업계 “부동산 PF 조정위원회 상설운영, 환영”
- BPA, 부산항 배후단지 활성화 입주기업 간담회 개최
- 서울 아파트값, 중대형이 가장 많이 올랐다…10년새 3배 ‘껑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