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균관대와 맞춤형 계약학과 소재부품융합공학과 운영
전자전기, 신소재, 기계, 화학공학 등 대학 교육 과정
3년 8학기제 운영, 2022년 입학해 이번에 20명 졸업

삼성전기는 ‘소재·부품’ 기술 인재 양성을 위해 성균관대와 정식 사내대학 과정을 운영, 지난 21일 첫 졸업생을 배출했다고 24일 밝혔다.
삼성전기가 운영하는 사내대학은 성균관대학교 소재부품융합공학과(이하 소부융)로 2022년도 신설했다. 삼성전기 사내대학은 삼성전기에 특화된 맞춤형 커리큘럼으로 전자전기, 신소재, 기계, 화학공학 분야를 융합한 대학 교육 과정으로 구성했고, 교육부로부터 인가받은 정규 학사 학위과정이다.
삼성전기 입학생들은 3년 동안 8학기의 수업을 수강하고, 총 130점 이상 학점을 이수 후 졸업하면 성균관대 총장 명의의 정식 학사 졸업장을 받는다. 삼성전기 사내대학은 입사한지 3년이 지난 고졸, 초대졸 임직원은 누구나 지원할 수 있다. 서류, 필기, 면접 전형을 거쳐 매년 20명을 선발한다. 매년 6:1이 넘는 경쟁률에 재응시 도전자들도 있을 정도로 직원들 관심이 높다
삼성전기의 사내대학, 성대 소부융 학생으로 선발되면 특별 대우를 받는다. 삼성전기는 고교, 전문대 졸업 후 학업에 대한 공백을 메꾸기 위해 입학 전 미적분, 기초 물리 등 인터넷 강의와 외부 전문강사 초빙 강의 등을 지원한다. 학기 중에는 임직원 ‘재능기부형 멘토링’ 제도를 도입, 삼성전기 내 우수 공대를 졸업해 해당 분야의 전문 지식을 가진 임직원들이 소재부품융합공학과 학생들의 학습을 돕는 프로그램을 운영한다.
삼성전기의 사내대학 학생들은 학기 중에는 주 3일간 회사에 오지 않고 학교 수업을 하며 학업에 전념할 수 있고 등록금의 80%, 수업 교재비 등을 제공받는다. 그 외 학습 효율성을 높일 수 있도록 별도 스터디룸도 지원받는다.
유관호 성균관대 소부융 학과장 교수는 “소부융 학생들은 학업에 대한 공백으로 수업에 뒤처지지 않을까 우려가 있었다. 매우 열정적이며 적극적으로 수업에 참여하고, 회사 업무를 통해 배운 경험을 학업에 적용하는 모습에서 오히려 다른 학생에게도 좋은 자극이 되고 있다”고 말했다.
일례로 성균관대학교 정보통신대학에서 학점 4.3 이상의 상위 10% 우등생에게 수여하는 Dean’s List에 매년 삼성전기 학생들이 선발되고 있고 졸업 과제 발표회 연구 성과를 국내 전문학술대회에서 발표하기도 했다.
지난 2022년 입학해 이번에 졸업하며 공학사 학위를 받는 20명은 입학 전 실무 경험과 학부과정을 통해 수학한 소재·부품 이론이 가장 크게 활용될 수 있는 각 사업부의 개발, 기술 부서로 배치된다. 작년 선발한 25학번인 4기 학생들은 2월 26일 입학할 예정이다.
박봉수 삼성전기 피플팀장 부사장은 “임직원들의 시야를 넓히고 전문성을 높여 성장하면 결국 회사의 경쟁력이 제고된다”라며 “삼성전기는 제조 현장의 기술경쟁력 강화를 위한 인재 양성을 지속 추진하겠다”고 밝혔다.
삼성전기는 국내외 임직원을 대상으로 직급 및 경력별 리더십, 직무 전문성, 외국어 및 글로벌 역량 향상 등을 위해 다양한 양성 제도를 운영하고 있다.
©(주) 데일리안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극우내란당” 이재명 공격에 권성동 “李, 인생 자체가 사기고 범죄”
- 尹 탄핵 기각이냐 인용이냐…헌재 어떤 결정 내리든 극심한 국론 분열 불가피 [정국 기상대]
- 원희룡, 상속세 논쟁 참전…”작은 집 하나 물려받으려는 2030의 문제”
- 전국 의대 8곳 추가모집에 9명 선발…”의대 증원에 2배 늘어”
- 젤렌스키 “우크라 나토 가입 허용하면 즉시 사임”
- 흥국화재, 글로벌 제약사 에자이와 ‘맞손’…치매 치료 협력 강화
- iM증권 “건설, 업황 부진에도 상승 여력 충분…실적 개선 기대”
- 두나무, ‘넥스트 잡’ 2차년도 성과 공유…자립준비청년 530명 지원
- 한투운용 “ACE ETF 순자산액 15조원…점유율 8% 육박”
- FITI시험연구원, 섬유패션 제조·공급업체 화학물질 관리 시스템 검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