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 R&D·기술사업화 장비구축에 2400억원 투자…초격차 프로젝트 이행

2

반도체·로봇 등 11개 분야 우선 지원

R&D에 AI기술 활용 자율실험실 구축

정부세종청사 산업통상자원부 전경.ⓒ데일리안 DB

정부가 연구개발(R&D)와 기술사업화 장비구축에 올해 2400억원을 투자할 계획이다.

산업통상자원부는 초격차 기술 연구개발과 신속한 사업화에 필요한 장비구축을 지원하는 산업혁신기반구축사업 시행계획을 24일 공고한다고 23일 밝혔다.

사업은 올해 2차례에 걸쳐 공고될 예정으로 총 2408억원이 투입된다. 기존에 진행 중인 111개 과제에 2168억원을 신규로 선정되는 16개 과제에 240억원을 투자할 계획이다.

산업혁신기반구축사업은 우리 기업과 연구기관이 시험·평가, 인증, 실증, 테스트베드 구축 등을 위해 필요한 장비를 지원하는 사업이다.

비용 부담 때문에 개별 기업이나 연구기관이 단독으로 투자하기 어려운 장비를 대학·연구기관 등 비영리기관에 구축해 공동 활용하도록 돕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지난 2011년부터 약 2조1000억원을 투자해 5449대의 장비 구축을 지원했다. 이들 장비의 가동률은 2023년 말 기준 81.9%다. 정부 기술개발사업으로 지원한 장비의 평균 가동률 40.8% 대비 매우 높은 수준을 유지하고 있다.

장비 활용 기관 수는 2021년 4700개에서 2023년 8800개로 증가했다. 활용 횟수 역시 2021년 4만7500건에서 2023년 7만6900건으로 증가했다.

산업부는 올해 사업을 통해 반도체, 디스플레이, 이차전지, 미래모빌리티, 바이오, 로봇 등 11개 분야 45개 초격차 프로젝트 이행에 필요한 과제를 우선 지원한다.

아울러 지난해 10월 발표한 ‘인공지능(AI)+R&DI 추진전략’과 연계해 AI를 활용한 연구설계와 자율실험을 위한 인프라에도 본격 투자한다.

올해 공고는 2회로 나눠 진행할 예정이다. 24일 1차 공고를 통해 10개 과제를 먼저 선정한다. 자세한 내용은 산업부와 한국산업기술진흥원(KIAT) 홈페이지를 통해 확인할 수 있다.

한편 산업부는 2026~2028년간 구축해야 할 장비에 대한 로드맵을 수립하기 위해 2월 말까지 KIAT 홈페이지에서 산업현장의 수요를 접수하고 있다.

접수된 수요를 검토하고 전략적으로 투자가 필요한 장비를 선별해 상반기 중 로드맵을 수립할 계획이다.

©(주) 데일리안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1
0
+1
0
+1
0
+1
0
+1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