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축자문위 개최

조달청(청장 임기근)은 올해 공공 비축 규모를 확대하면서 경제 안보 품목 비축계획, 희소금속 이관 계획, 비축기지 중장기 로드맵 등 3대 계획을 중심으로 비축 기능을 강화해 나가기로 했다.
조달청은 21일 서울지방조달청에서 관계 기관과 산·학·연·외교·안보·금융 등 관련분야 전문가들이 참여하는 비축자문위원회를 개최했다.
올해 비축 사업 계획 주요 내용은 먼저 알루미늄, 니켈, 구리, 아연, 주석, 납 등 비철금속 6종의 비축 규모를 2027년까지 60일분을 확보하는 것을 목표로 올해에는 55일분까지 확대하기로 했다.
전량 수입에 의존하는 알루미늄과 향후 수요 증가가 예상되는 구리 비축량을 중점적으로 늘릴 계획이다.
요소 등 비축 중인 경제 안보 품목 재고량은 유지하는 한편, 올해 상반기 중에 복합비료 원료에 대한 신규 비축을 추진한다.
조달청은 앞으로도 공공 비축이 필요한 경제 안보 품목을 지속적으로 발굴해 공급망 위기에 선제적으로 대응할 계획이다.
비축 규모 확대에 대비해 보유 중인 희소금속 광해 공단 이관을 2028년까지 완료한다. 소형 비축기지 구조조정 및 권역별 비축기지 구축을 위한 중장기 계획을 마련한다.
공급망 위기 발생시 물량 확보 가능성을 높이기 위한 연간 공급계약을 비철금속 전반에 도입한다. 경제 안보 품목 타 소비축 사업자에 대한 혜택을 강화해 사업 안정성과 확장성을 높인다.
임기근 조달청장은 “올해는 관세 이슈 등 미-중 간 긴장이 높아지고 있어 글로벌 공급망 위험 대비가 어느 때보다 중요한 시기”라며 “산업 필수 원자재에 대한 공공 비축 기능을 강화해 위기 시 대응에 필요한 시간을 확보하고, 평상시에는 기업 안정적 조업을 뒷받침해 경제와 민생의 든든한 버팀목이 되겠다”고 말했다.
©(주) 데일리안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권성동, 민주당 ‘노봉법’ 재발의에 “역시 ‘이재명 중도보수’는 정치 사기”
- ‘중도보수 선언’ 이재명에 민주당 발칵…노선 논쟁 후폭풍 여전
- 나경원 “尹 탄핵안 ‘각하’ 해야…조기 대선 얘기할 때 아니다”
- ‘100만대 1 뚫은 실력자’ 태국 총리 옆 미모의 女 경호원 ‘화제’
- 임종석 “이재명, 좌파로 인식되는 불편함에 ‘우클릭 강박관념'”
- 산단공, ‘공공데이터 제공 및 데이터기반행정 평가’ 최고 등급 달성
- 현대해상, 작년 순익 1조307억…전년比 33.4%↑
- 삼표그룹, 안전 보건 경영 선포…‘중대재해 제로’ 달성
- UPA, 美 LACP 주관 지속가능경영보고서 ‘금상’ 수상
- KTC, 웨어러블 로봇 실증센터 구축 다자간 업무협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