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공 등 산업서 연료 절감 향상 등 기대”

한국과학기술원(KAIST)은 유승화 기계공학과 유승화 교수 연구팀이 토론토 대학 토빈 필레터 교수 연구팀과 협력해, 높은 강성과 강도를 유지하면서도 경량성을 극대화한 나노 격자 구조를 개발했다고 18일 밝혔다.
연구팀은 이번 연구에서 격자 구조의 보(beam) 형상을 최적화해 경량성을 유지하면서도 강성과 강도를 극대화하는 방안을 모색했다.
특히 다목적 베이지안 최적화 알고리즘을 활용해 인장 및 전단 강성 향상과 무게 감소를 동시에 고려하는 최적 설계를 수행했다. 기존 방식보다 훨씬 적은 데이터(약 400개)만으로도 최적의 격자 구조를 예측하고 설계할 수 있음을 입증했다.
연구팀은 나노 스케일에서는 크기가 작아질수록 기계적 특성이 향상되는 효과를 극대화하기 위해 열분해 탄소(pyrolytic carbon) 소재를 활용해 초경량·고강도·고강성 나노 격자 구조를 구현했다.
이를 위해 이광자 중합(two-photon polymerization, 2PP) 기술을 적용해 복잡한 나노 격자 구조를 정밀하게 제작했으며, 기계적 성능 평가 결과 해당 구조가 강철에 버금가는 강도와 스티로폼 수준의 경량성을 동시에 갖추고 있음을 확인했다.
또한 멀티포커스 이광자 중합(multi-focus 2PP) 기술을 이용해 나노스케일의 정밀도를 유지하면서도 밀리미터 스케일의 구조물 제작이 가능함을 연구팀은 입증했다.
유승화 교수는 “이번 기술은 기존 설계 방식의 한계로 지적되던 응력 집중 문제를 3차원 나노 격자 구조를 통해 혁신적으로 해결함으로써, 초경량성과 고강도를 동시에 구현한 신소재 개발에 중요한 진전을 이뤘다”고 말했다.
이어 “데이터 기반 최적화 설계와 정밀 3D 프린팅 기술을 융합한 이 기술은 항공우주 및 자동차 산업의 경량화 수요에 부응할 뿐만 아니라, 맞춤형 설계를 통한 다양한 산업 응용 가능성을 열어갈 것으로 기대된다”고 강조했다.
©(주) 데일리안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민주당이 지켜줄 것”…’곽종근 가스라이팅’ 우려한 707단장
- ‘집토끼 악순환’ 빠진 이재명…상속세 약속 이번엔 지킬까 [정국 기상대]
- “계속 지지층 결집” vs “이젠 중도층 확장”…국민의힘 덮친 ‘탄핵·대선’ 딜레마
- 尹 측, 탄핵심판서 ‘양날의 검’ 한덕수 증언 어떻게 활용할까? [법조계에 물어보니 623]
- “한국 방산주 시대 쉽게 끝나지 않을 것”…’트럼프 수혜주’ 관심 갈수록 증폭
- ‘권진영 대표 사임’ 후크 엔터, 초록뱀 엔터테인먼트로 사명 변경
- “북한 도발 의지 완전 분쇄”…군, ‘장사정포 킬러’ 전술지대지유도무기 KTSSM 작전배치
- “이재명이 보자 해서 날짜 조율 중” 박용진이 밝힌 이재명 ‘숙제’는…
- 권성동 “이재명, ‘주52시간’ 입장 또 바꿔…성장하는 건 ‘거짓말 리스트’ 뿐”
- [속보] 최 대행 “이제부터 ‘통상총력전’…범정부 수출대책 내놓을 것”