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정적인 6G 커버리지 확보 및 무선 용량 증대 위한 기술 개발 본격화
“6G 시대를 대비한 고객 체감 품질 향상을 위한 기술 개발 힘쓸 것”

KT가 6G(6세대) 이동통신 시장에 대비한 초고집적 안테나 성능 검증에 성공했다.
KT는 노키아와 6G 후보 주파수 대역 중 하나인 7GHz 대역에서 초고집적 안테나를(Extreme massive MIMO) 활용한 기지국 기술을 검증했다고 16일 밝혔다.
초고집적 안테나 기술은 5G 보다 훨씬 많은 수의 안테나 소자(전파를 방사하는부분)를 사용하는 것으로 ▲빔포밍(Beamforming: 신호를 원하는 방향으로 집중하여 전송하는 기술)으로 커버리지 확장 ▲다수의 사용자에게 동시에 빔을 형성해 데이터를 전송하는 공간 다중화 등의 방식으로 전송 속도를 증가시킬 수 있다.
주파수는 대역이 상승하면 전파 도달거리가 감소하는 특징이 있지만, KT는 초고집적 안테나를 통하면 7GHz 대역에서도 3.5GHz 대역의 5G와 유사한 수준의 커버리지가 가능한 것을 확인했다. 이번 기술 검증은 노키아 본사가 위치한 핀란드 에스푸(Espoo)시에서 진행됐다.
주파수는 이동통신을 실현하는 기본 요소로 6G 연구 초기 단계부터 분석과 준비가 필요한 만큼, KT는 작년 관악구에 실측 사이트를 구축하여 국내 도심환경에서의 7GHz 대역 전파 특성을 확인한 바 있다.
7GHz 대역은 기존 5G보다 4배 넓은 주파수 영역을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전망되나, 3.5GHz 대역 대비 주파수가 2배 높아짐에 따라서 수신신호 세기는 감소된다. 하지만 주파수가 높아질수록 파장도 짧아지고 안테나 길이도 작아지기 때문에 동일한 크기의 장비에 더 많은 안테나 소자를 집적할 수 있다.
이를테면 기존 3.5GHz 대역과 비교했을 때 7GHz 대역에서 안테나 집적도를 4배(192개→768개) 높일 수 있어 기지국의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런 특성들을 감안하면, 향후 6G 통신 환경의 안정적인 품질 확보를 위해서는 초고집적 안테나 기술의 적용이 필수적이다. KT는 스페인 바르셀로나에서 열리는 MWC 2025에서 노키아와 협력하여 이번 초고집적 안테나 기지국 기술 검증 결과를 전시할 계획이다.
KT 미래네트워크연구소장 이종식 전무는 “무선 통신 세대의 진화는 기존과 다른 주파수 대역을 활용하는 만큼 안정적인 서비스 제공을 위한 준비가 필요하다”며 “고객 체감 품질 향상을 위한 선제적 6G 요소기술 확보를 본격화 할 것”이라고 말했다.
©(주) 데일리안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또 ‘말 바꾸기병’ 도진 이재명…”25만원 철회” 사흘 만에 없던 일로
- “갈수록 어려워져”…‘사극’도 ‘요즘 시청자’ 발맞추기 ‘안간힘’ [기자수첩-연예]
- [대권 가는 길 ⑧] 유승민, TK 방문하며 대권 시동…’3번째 도전’ 성공할 수 있을까
- [오늘 날씨] 낮 최고 14도 ‘미세먼지 나쁨’…겨울이 가기 전 알아야 할 ‘패딩 세탁법’
- 美, ‘딥시크 금지법’ 만들어 원천 봉쇄한다
- “미·러·우크라, 수일내 사우디서 회동…종전 논의”
- 화학연, 비귀금속 철 기반 암모니아 분해 촉매 기술 개발
- 한동훈, 정계 복귀 초읽기…”책 한 권 쓰고 있다, 머지 않아 찾아뵐 것”
- 중증도 이상 우울·재발성 우울장애, 최근 2년 연속 증가
- 국토부, 전기차 배터리 인증제·이력관리제 시행…“안전성 정부가 살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