촉매 저온 수소 생산 성능 향상, 2030년 상용화 목표

한국화학연구원은 비귀금속 ‘코발트-철(CoFe)’ 기반 암모니아 분해 촉매 기술을 개발했다고 16일 밝혔다.
화학연 이수언 박사와 채호정 박사팀은 CoFe 기반 층상 이중산화물(LDO)에 세륨 산화물(CeO2)을 도입해, 낮은 온도에서 높은 암모니아 분해 효율을 가진 촉매 기술을 개발했다.
암모니아(NH3)는 수소(H2)를 안전하고 효율적으로 저장 및 운송할 수 있는 친환경 에너지원으로 주목받고 있다.
그러나 암모니아로부터 수소를 추출하려면 높은 온도에서 암모니아를 수소와 질소로 분해하는 화학반응이 필요하다. 이때 촉매를 사용하면 비교적 낮은 온도에서 분해 효율을 높일 수 있는데, 루테늄이 가장 우수한 성능을 보인다. 그러나 귀금속인 루테늄 촉매는 가격이 비싸고, 높은 암모니아 분해 효율을 위해 여전히 높은 온도가 요구된다.
연구팀은 이를 극복하기 위해 저렴한 ‘CoFe’ 기반의 층상 이중 산화물(LDO)에 세륨 산화물을 추가한 비귀금속 기반 촉매를 개발했다. 이 촉매는 저렴한 비용으로 우수한 암모니아 분해 성능을 보이며, 저온에서도 높은 효율을 유지하고 장기간 운전이 가능하다.
세륨 산화물 도입의 장점은 CoFe 층상 이중 산화물 촉매의 표면 구조를 조정해 금속 입자들의 응집(뭉침)을 방지하고, 또한 세륨 산화물의 독특한 산화-환원 특성(Ce³⁺/Ce4⁺ 전환)을 이용해 촉매의 전자 특성을 조절할 수 있다는 점이다.
이는 촉매 표면에서 암모니아가 질소와 수소로 분해되는 과정 중 가장 시간이 오래 걸리는 단계(속도결정단계)인 질소의 재결합-탈착 반응이 원활해지도록 도와 암모니아 분해 반응을 촉진할 수 있었다.
이 덕분에 이번에 개발한 촉매는 낮은 온도에서도 우수한 성능을 보였다. 450°C에서 최고 81.9%의 암모니아-수소 전환율을 달성했다. 기존 다양한 촉매보다 50°C 이상 낮은 온도임에도 불구하고 효율은 더 높았다.
채호정 박사팀은 지난 2022년 또 다른 비귀금속인 니켈을 이용한 암모니아 분해 촉매를 만들었는데, 당시 촉매가 450°C에서 암모니아 전환율 45%를 보였던 결과에 비해 매우 개선된 것이다.
또 550°C의 온도에서 장시간 연속 운전 후에도 촉매의 구조적 변화가 거의 없었으며, 수소 생산 효율도 유지되는 안정성을 보였다.
연구팀은 향후 추가 연구를 통해 촉매의 저온 수소 생산 성능을 향상하고, 최적화 과정을 거쳐 2030년경 상용화를 목표로 하고 있다.
연구진은 “개발된 촉매는 암모니아 기반 대형 수소 생산 플랜트, 수소 발전, 수소 스테이션과 선박 분야 등에서 활용될 수 있다”며 “특히 암모니아를 수소 저장체로 활용하는 시스템에 적용할 수 있다”고 말했다.
©(주) 데일리안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가능성 커진 ‘3월초’ 탄핵 결론…국민의힘·잠룡들, 헌재 압박 수위 최고조
- “네 아내 벗겨봤는데…임신도 세 번 시켰다” 유부남 전남친의 끔찍한 스토킹
- 백수 男이 아내 넷이나 거느리더니…결국 ‘대박’ 터졌다
- [대권 가는 길 ⑥] 이재명이 정책 베낄 정도?…김동연, ‘경제·행정통’ 위상에도 ‘존재감’은 과제
- 쌍방울, 그룹 해체부터 상장 폐지까지…60년 역사 뒤안길로
- 한동훈, 정계 복귀 초읽기…”책 한 권 쓰고 있다, 머지 않아 찾아뵐 것”
- 중증도 이상 우울·재발성 우울장애, 최근 2년 연속 증가
- 국토부, 전기차 배터리 인증제·이력관리제 시행…“안전성 정부가 살핀다”
- 인천시, 압류자동차 인도명령서 발송…강제처분 절차 착수
- 신승훈 ‘오랜 이별 뒤에’ [Z를 위한 X의 가요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