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G 상용화 선도’… 정부 기업·대학 등 R&D 협력 본격화

13

과기정통부, 27~28일 ‘6G 산업기술 개발 사업 정보교류회’

과기부. ⓒ데일리안DB

정부가 차세대 네트워크(6G) 상용화 선도를 위해 국내 기업·대학·연구소 간 연구개발 협력을 본격화한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정보통신기획평가원과 함께 27~28일 고려대에서 ‘6G 산업기술 개발 사업 정보교류회’를 개최한다.

이번 행사는 6G 산업기술 개발에 참여하는 기업, 대학, 연구소 및 유관기관 등이 본격 연구개발을 시작하기에 앞서 연구계획을 공유하고 과제 간 연계 방향을 토론하기 위해 마련됐다.

6G 산업기술 개발 사업은 2026년 Pre-6G 기술 시연, 6G 국제표준특허 30% 확보 등 우리나라 차세대 네트워크 경쟁력 확보를 목표로 추진 중이다. 지난 2023년 예비타당성조사를 통과했으며 올해 총 27개 R&D 과제에 206억원을 지원한다. 또 향후 5년간 국비 총 3731억 원이 투입된다.

우리나라도 급변하는 6G 기술 추세에 대응해 글로벌 기술경쟁력을 확보하기 위해 6G 무선통신, 6G 모바일코어, 6G 유선네트워크, 6G 시스템, 6G 표준화 등 5대 분야에 대한 기술개발을 추진 중이다.

정보교류회 행사는 6G 산업기술 개발 사업단장인 IITP 최성호PM의 ‘6G 산업기술개발 사업 추진 방향’ 소개를 시작으로 동 사업 과제 간 연계 방안, 6G 사업단 역할과 함께 사업관리 방향을 논의한다.

행사 첫날은 동 사업 5개 분야 중 6G 시스템, 6G 모바일 코어, 표준화 및 6G 유선네트워크 4개 분야 총괄과제 책임자들 연구계획 발표가 진행됐다. 2일 차인 28일에는 6G 무선통신 분야 총괄과제 책임자들 연구계획 발표가 진행될 예정이다.

정창림 과기정통부 정보보호네트워크정책관은 “우리나라가 6G 표준특허 확보 등에서 세계시장에서 주도적인 역할을 할 수 있도록 기업·대학 등 산업 및 연구 현장과 소통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주) 데일리안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1
0
+1
0
+1
0
+1
0
+1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