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기중앙회 “하반기 中企 경영 개선 전망”

29

매출·영업이익 등 상반기 체감경기보다 호전 예상

올 상반기 경영 애로요인은 원자재가격 상승

중소기업중앙회 본사 ⓒ중소기업중앙회

중소기업 업계가 올해 하반기 경기 전망이 상반기보다 호전될 것으로 전망했다. 매출, 영업이익, 자금사정, 공장가동률 등 전반적인 경영 부분에서 지표 개선을 예상했다.

중소기업중앙회는 ‘중소기업 경영 애로 및 2024년 하반기 경기전망조사’ 결과를 20일 발표했다. 이번 설문조사는 5월31일부터 6월5일까지 전국 중소기업 500개사를 대상으로 진행됐다.

2024년 하반기 전반적인 경기전망이 호전될 것이라는 응답한 기업은 12.0%로, 2024년 상반기 경영실적 결과(‘호전됐다’ 응답 8.2%)와 비교해 더 많은 기업이 향후 하반기 경기전망을 긍정적으로 내다봤다.

중소기업 경영 애로 및 2024년 하반기 경기전망조사 결과 ⓒ중소기업중앙회

분야별로는 올 하반기에 상반기 실적 대비 ▲매출(10.2%→13.6%) ▲영업이익(7.4%→12.0%) ▲자금사정(7.4%→10.0%) ▲공장가동률(10.9%→12.8%) 모두 호전될 것으로 전망했다.

역계열 추세 항목인 ▲인력수준(7.8%→6.6%) ▲재고수준(14.0%→11.7%) ▲설비수준(6.8%→5.3%)에서도 ‘과잉’으로 응답한 기업의 비율은 상반기 대비 감소했다.

2024년 상반기 경영 애로요인(복수응답)은 ▲원자재가격 상승(43.8%) ▲내수 부진(41.8%) ▲인건비 상승(35.4%) ▲금리 상승(19.6%) 등으로 조사됐다.

하반기 경영 애로요인도 ▲원자재가격 상승(40.8%) ▲내수 부진(40.8%) ▲인건비 상승(32.8%) ▲금리 상승(19.2%) 순서로 집계돼 상반기 경영애로 요인이 하반기에도 지속될 것으로 조사됐다.

중소기업 절반 이상(54.8%)은 내수경제 예상 회복 시점을 ‘2026년 이후’로 응답했다. ‘2025년’을 응답한 기업은 36.4%, ‘2024년’을 응답한 기업은 8.8%에 불과했다.

2024년 하반기 최우선 경영 전략으로 비용절감·구조조정 등 경영 내실화(27.0%)가 필요하다고 가장 많이 응답했다.

중소기업의 활력 제고를 위해 가장 필요한 정책(복수응답)으로는 세금 부담 완화가 51.8%로 가장 높았고 금융 지원(42.8%), 인력난 해소(28.8%), 원자재 수급 안정화(20.4%) 순으로 조사됐다.

추문갑 중기중앙회 경제정책본부장은 “하반기 중소기업의 경영 전망은 다소 개선될 전망이나 개선 폭이 크지 않고, 단기간에 경기회복을 기대하기 어려운 상황”이라며 ” 정부는 중·단기적 내수 활성화 정책을 지속적으로 추진하면서, 세 부담 완화 및 금융 지원을 통해 중소기업이 투자 여력을 확보할 수 있도록 유도해야 한다”고 밝혔다.

©(주) 데일리안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1
0
+1
0
+1
0
+1
0
+1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