뇌주름 형성 원리 이용…‘금속-탄성체 나노 구조체’
채수상 교수 “의료, 전자기기, VR에 활용될 것”
국내 연구진이 고무처럼 늘어나지만 금속만큼 전기가 통하는 첨단 바이오 신소재를 개발했다.
한국연구재단은 이태일 가천대 교수, 오진영 경희대 교수, 최원진 로렌스리버모어국립연구원 박사, 채수상 한국기술교육대 교수 국제 공동 연구팀이 잘 섞이지 않는 두 물질인 고무와 금속을 속도론적 방법으로 뇌주름 형상의 ‘금속-탄성체 나노 구조체’를 만드는 기술을 개발했다고 23일 밝혔다.
화학 반응에 있어서 열역학이 에너지의 변환과 흐름에 관련된 원리를 설명한다면, 화학 반응 속도론은 반응의 경로, 반응 속도 등에 대해 탐구한다.
최근 전자피부, 웨어러블 로봇 등 착용형 전자기기 개발이 활발하다. 피부를 닮은 전자피부나 촉각센서, 잘 구부러지는 디스플레이를 만들기 위해서는 전기가 통하면서도 유연한 소재가 필수적이다.
이러한 신축성 전극 개발에서 금속 물질과 고무와 같은 탄성체 간 반발에 의해 서로 섞이지 않아 재료적 한계가 있었다.
공동연구팀은 ‘속도론적 방법’이라는 새로운 접근으로 이 문제를 해결했다. 역학적으로 섞이기 어려운 금속과 탄성체를 섞어 각각의 물질 고유 특성을 유지하는 나노구조체 신소재를 개발했다.
연구팀은 고무 탄성체 기판 위에 금속 박막을 증착하는 시스템에서, 고무와 금속 각각 물질들의 증착 속도를 조절하는 방식으로 화학 반응을 통제했다.
고무 분자들의 이동속도와 증착되는 금속 원자들의 증착 속도 간의 상대적 차이를 조절, 나노니들 형태의 금속구조체들이 매우 조밀하게 연결된 금속-탄성체 나노상을 만드는데 성공했다.
또 고무 탄성체 기판 표면에 형성된 ‘금속-탄성체 나노상’은 기판과 계면 사이의 큰 기계적 불안정성을 유도해 증착이 끝난 후, 수 시간에 걸쳐 마치 뇌주름과 같은 형태의 표면 주름이 형성되는 것으로 관찰됐다.
이는 표면적이 높아지는 효과를 얻는 동시에 ‘금속-탄성체 나노상’ 내부의 특이한 나노구조를 통해, 기계·화학·열적 측면에서 기존 재료에서 보기 힘든 정도의 높은 내구성을 보였다.
채수상 한기대 교수는 이번 연구성과에 대해 “기존 신축성 전극이 가질수 없었던 매우 뛰어난 내구성을 바탕으로 차세대 웨어러블 의료 및 전자기기나 가상현실(VR)과 같은 응용 분야의 전극소재로 널리 활용될 수 있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한국연구재단이 추진하는 신진연구사업과학기술정보통신부의 지원으로 수행된 이번 연구 성과는 재료 분야 국제학술지 ‘네이처 커뮤니케이션즈’에 지난 9일 게재됐다.
- 일제 파괴 화성행궁, 119년 만에 완전체로 돌아왔다
- 남양주시, 경기정원문화박람회 착수보고회 개최 등 본격 준비에 들어가
- 안산시 평생비전센터, 재무관리 교육 수강생 모집
- 어버이날 받고 싶은 선물 1위는 ‘상품권·e쿠폰’
- ‘박희준 은퇴’ 가라테, 국가대표 선발전 통해 세대교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