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의 금시세(금값)… “금의 상대적 가치 상승“

9

12일 오늘의 금시세(금값)는 전일과 비교해 대체로 상승세를 보였다. 은시세(은값)는 하락했다.

이번 금 가격 상승세는 달러 가치의 하락 등이 주된 원인 중 하나로 꼽힌다. 달러 가치가 하락하면 상대적으로 금의 가치가 상승하는 경향이 있다.

골드바 / Pixfiction-shutterstock

국내 금·은 거래 주요 기관별 이날 기준 금시세(이하 3.75g 한 돈 기준)는 다음과 같다.

한국금거래소 금·은 시세 / 공식 홈페이지
▲한국금거래소

순금(24K) : 매입가 43만 5000원 / 매도가 38만 2000원

18K 금 : 매입가 ‘제품 시세 적용’ / 매도가 28만 800원

14K 금 : 매입가 ‘제품 시세 적용’ / 매도가 21만 7800원

백금 : 매입가 18만 5000원 / 매도가 15만 원

은 : 매입가 5730원 / 매도가 4550원

한국표준금거래소 금·은 시세 / 공식 홈페이지
▲한국표준금거래소

순금 : 매입가 43만 4000원 / 매도가 38만 3000원

18K 금 : 매입가 ‘제품 시세 적용’ / 매도가 28만 1500원

14K 금 : 매입가 ‘제품 시세 적용’ / 매도가 21만 8300원

백금 : 매입가 18만 5000원 / 매도가 14만 원

은 : 매입가 5630원 / 매도가 4060원

금시세닷컴 금·은 시세 / 공식 홈페이지
▲금시세닷컴

순금(24K) : 매입가 42만 9000원 / 매도가 38만 5000원

18K 금 : 매입가 32만 1000원 / 매도가 28만 4000원

14K 금 : 매입가 25만 원 / 매도가 22만 1000원

백금 : 매입가 16만 원 / 매도가 15만 1000원

은 : 매입가 4900원 / 매도가 4600원

<금시세 영향 요인>
1. 글로벌 경제 불확실성

최근 몇 달간 글로벌 경제는 여러 가지 불확실성에 직면해 있다. 미국과 중국 간의 무역 긴장, 유럽의 경제 성장 둔화, 신흥 시장의 불안정성 등 여러 요인이 복합적으로 작용하고 있다. 특히 주요 경제 대국들의 경기 둔화 우려는 안전자산으로서의 금 수요를 증가시키는 요인으로 작용한다. 안전자산으로서의 금은 경제 불확실성이 증가할 때 더욱 선호되는 경향이 있다.

2. 달러 가치 하락

달러화의 가치가 하락하면서 금값이 상승하는 경향이 있다. 최근 미국의 일부 경제 지표가 부진하게 나오면서 달러화가 약세를 보이고 있다. 달러 가치가 하락하면 금의 상대적인 가치가 상승하게 되며 이는 금 가격을 끌어올리는 요인으로 작용한다.

이날 원/달러 환율은 1377.80원으로 전일 대비 0.16% 하락했다.

+1
0
+1
0
+1
0
+1
0
+1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