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안녕하세요, 저는 올해 8살이 된 아이가 있는 워킹맘 빈스스테이입니다. 현재 패널 제조 회사에서 개발 업무를 맡고 있어요. 직장 때문에 아이를 돌봐주시는 친정에서 머물고 있는데, 벌써 그게 5년이나 되었네요.




3대가 사는 집. 말로만 들어도 느껴지지만, 그 인테리어의 시작은 마냥 순탄치 않았어요. 각자 원하는 공간의 모습도 니즈도 달랐거든요. 하지만 서로의 이야기를 듣고, 하나 둘 새로움을 더하다 보니 지금의 공간이 완성되었어요. 모든 구성원의 온전한 휴식처가 되어줄 수 있는 집이요.

오늘은 부모님이 오랫동안 지키시고, 그 속에서 아이가 자라나는 저희 집을 소개해요. 노란 장판이 가득하던 구축 주택이 제 손길에 닿아 하나 둘 바뀌어가던 순간을 포착했어요.
도면부터 확인해요

저희 집은 상가주택에 위치한 31평 공간이에요. 거실, 주방, 방 3개로 이루어져 있는데 친정집이다 보니 제게 주어진 방은 아이 방뿐이었죠. 그래서 이번 집들이에서는 현관, 거실, 주방, 아이 방을 차례로 소개해 보려고 해요. 간단한 인테리어 팁은 아래에 적어두었으니 참고해 주시면 좋을 것 같아요.
| 집꾸미기 리스트
홈 스타일링
셀프 시공 : 템바보드 설치, 아이 방 도배 · 장판 · 몰딩
부분 시공 : 거실 도배 · 몰딩 시트지 작업
| 인테리어 팁
미니멀 실천이 어렵다면, 톤을 맞춰요
가벽이나 아일랜드 식탁 등으로 실용적인 동선을 만들어요
한 번쯤은 특별한 가구를 주문 제작해 봐요
현관
집 안이 그대로 보이던 현관

저희 집은 현관이나 복도라고 할만한 게 없는 구조예요. 들어서자마자 바로 집 안이 보였죠. 하지만 제게는 ‘전실’에 대한 로망이 있었어요. 그래서 가벽과 벤치로 구조를 가다듬기로 했답니다.
가벽과 벤치로 ‘전실’ 만들기



고가구와 장난감이 어지럽던 거실

친정집 거실은 원래 파리도 미끄러질 정도로 깨끗했어요. 그런데 아이와 제가 들어와 살기 시작하자 고가구에 장난감에 점점 그 조화가 어지러워지기 시작하더라고요. 집에 와도 쉬는 기분이 아니고, 죄책감마저 들 정도로요. 그렇게 큰마음을 먹고 두 팔을 걷어붙였죠.
새로운 가구로, 새로운 시작을!








가전과 식탁으로 혼란했던 주방
주방은 평수에 비해 좁게 나오기도 했고, 다른 곳에 비해 가전제품이 많아 늘 혼잡했어요. 거기에 식탁과 아일랜드 수납장이 따로 있다 보니 정리를 해도 깨끗해 보이지 않았죠.
아일랜드 식탁으로 광명 찾기







노란 장판과 체리 몰딩의 조화

방 중에서는 제가 유일하게 꾸밀 수 있는 공간이었던 아이 방. 그래서 이곳엔 더욱 공을 들였어요. 하지만 처음엔 노란 장판에 갈색 몰딩, 알록달록한 장난감까지 더해져 아무리 치워도 치운 느낌이 나지 않았답니다.
러그와 커튼으로 지저분한 곳을 가리기



하지만 아이가 성장할수록 점점 이대로는 부족하게 느껴지더라고요. 놀이부터 공부까지, 더 많은 활동을 집에서 하게 될 텐데 이런 공간에서는 안될 것 같았어요. 그래서 벽지, 장판, 몰딩을 새롭게 교체해 주기로 했어요. 한 번도 해본 적은 없었지만 ‘셀프’로 시공해 보기로 했죠.


새 학기를 앞두고 책상과 침대를 마련하며 저는 또다시 고민에 빠졌어요. 새로운 가구가 들어와야 하는데, 장난감에 아직 미련이 남아 어떻게 공간을 활용해야 할지 모르겠더라고요. 그러다가 우연히 놀러 간 쇼핑몰에서 벙커 침대를 발견했어요. 저는 그 길로 ‘유레카’를 외치며, 세상에 하나뿐인 가구를 제작하기로 했답니다. 사이즈도 비용도 모두 완벽하게 맞춘, 특별한 침대를요.






직접 제작한 침대가 마음에 들었던 저는 책상까지 같은 업체에서 주문 제작했어요. 사진은 제가 직접 그린 도면이랍니다.


펜으로 슥슥 그린 그림은 이렇게 멋진 책상으로 완성되었어요. 서랍에는 피아노도 수납할 수 있어, 공간 활용에 탁월하답니다. 건반은 제가 치던 건데, 아이가 물려받아 치고 있어요. 요즘 피아노 학원을 다니기 시작하면서 흥미가 부쩍 늘었네요.
합판으로 아치 문 만들기

셀프 시공의 마지막은 바로 ‘문’을 바꾸는 거였어요. 아이 방이 현관 입구 쪽에 있어서 몰딩과 문이 많이 상했더라고요. 그렇다고 새로 교체하기엔 비용이 많이 들것 같아 이번엔 ‘합판’을 대어 고쳐보기로 했어요.

그렇게 완성한 모습이에요. 문 대신 달아둔 커튼의 색감이 참 귀엽지 않나요? 곧 찾아올 봄이 떠오르기도 하고요. 정통 아치 형태는 아니지만 세월의 흔적을 가릴 수 있게 되어 만족스러워요.
공간이 주는 힘을 믿어요

저는 공간이 주는 힘을 믿어요. 특히나 공간의 변화는 아이에게 더욱 긍정적인 힘을 준다고요. 그런 믿음 덕분에 계속 공간에 눈을 맞추어가며 지금의 공간을 완성한 것 같아요. 그 과정 속에서 이 집에 정도 많이 들었고요.

집들이를 마치며, 한 번쯤은 맞춤 가구를 특별하게 제작해 보시기를 추천해요. 사랑하는 사람이 이 가구에서 보낼 일상을 상상하며 도면을 그리고, 완성되기를 기다리는 일은 매우 즐겁더라고요. 그게 아니더라도 누군가를 위해 공간을 다듬는 과정은 언제나 행복하겠죠. 모두 소중한 집을 가꾸시길 바라요.
집꾸미기 BEST 집 소개 더 보고 싶다면?
▼ 놀러 오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