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020년, 낡은 구축 아파트에서 남편과 저는 신혼생활을 시작했습니다. 화려한 꽃무늬 벽지와 답답한 구조, 칙칙했던 욕실까지, 처음에는 이 세월의 흔적을 도대체 어디서부터 지워나가야 할지 막막했어요. 모두가 하는 흔한 스타일보다는 우리에게 딱 맞는 공간에 대해 고민했고, 지금은 남편과 저의 러브하우스가 완성되었답니다. 우리가 피부로 겪은 리모델링 이야기, 들려드릴게요.
꽃무늬 벽지를
새하얀 도화지로

저희 부부가 살고 있는 이 집은 20평 아파트입니다. 또 90년대 초반에 지어졌고 2000년대 리모델링을 한 번 거친 상태였어요. 하지만 이 세상 꽃무늬가 다 모인 집이라 전체 리모델링을 결심하게 되었습니다.

이 집에서 평생 살지는 않을 거기 때문에 다음에 어떤 분이 오더라도 이 집에 취향을 녹일 수 있도록, 도화지 같은 집을 만드는 것을 목표로 했습니다. 먼저 거실 확장 포함하여 바닥, 도배, 전기, 욕실, 배관 등 집의 모든 부분을 새로 손보고 깔끔하게 고쳤어요. 전체 공사 끝에 비용은 3,200만 원 정도 들었습니다.
아일랜드로 복도를 만든 주방
BEFORE

AFTER

보통 20평대 주방은 거실 방향으로 ‘ㄱ’자 아일랜드를 두시는 경우가 많더라고요. 개인적으로 저는 현관에서 들어왔을 때 주방 안이 전부 보이지 않기를 원했어요. 또 작은 집이지만 제대로 된 식탁을 두고 작더라도 다이닝 공간이 있었으면 했어요.


그래서 아일랜드는 싱크대와 나란히 배치했어요.나름 복도가 생긴 것 같고, 주방이 지저분할 때도 살짝 가려지니 너무 좋아요!
아일랜드장은 원래 바닥과 가장 유사한 색상으로 마감했었는데, 몇 개월이 지나니 심심하고 재미없더라고요. 그래서 아일랜드 장에 과감하게 블루톤 필름지를 붙여줬어요. 들어오자마자 집의 분위기를 결정하는 중요한 아이템이 되었죠!




싱크대 옆은 저희 부부가 정말 사랑하는 작은 다이닝 공간이에요. 둘이 쓸 때는 테이블을 접어두었다가 손님이 올 때는 펼쳐서 쓸 수 있답니다. 여기에 마음에 들 때마다 하나씩 샀던 컬러풀한 의자를 두었더니 더더욱 제 마음에 쏙 들어요. 컬러 인테리어에 도전하기 어렵다면 의자부터 도전해 보는 걸 추천해요!


AFTER

복도, 자투리 공간에도
우리만의 감각을 더했어요
정갈한 톤의 첫인상, 현관
BEFORE

AFTER


BEFORE

AFTER


욕실은 최대한 깔끔하게 만들려고 했어요. 욕실 벽 선반을 설치할 때 신경 썼던 것은, 변기 쪽은 파지 않는 거였어요. 보통 작은 집 욕실에는 문 여닫는 공간 때문에 변기 쪽 벽 선반을 안쪽으로 집어넣거든요. 저는 그게 ‘여기가 변기다’라는 같은 느낌이 들어서 싫더라고요. 그래서 조금씩 치수를 조절해가며 벽 선반은 깔끔하게 한 면으로 마감했습니다.

또 하나 신경 썼던 것은 욕실 트렌치였어요. 샤워 공간과 아닌 부분 양쪽 모두 물 빠짐이 수월하되, 눈에 거슬리지 않도록 깔끔한 아이템을 골라 설치해 줬죠.
타일은 두 종류로 선택했는데, 위쪽은 가격 절감을 위해 주방에 썼던 타일과 동일한 타일을 메지 색만 다르게 하여 붙여줬어요. 메지 색상이 다르니 느낌이 다르더라고요.
집 소개를 마치며

집꾸미기 BEST 집 소개 더 보고 싶다면?
▼ 놀러 오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