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숨만 나옵니다”..10채 중 4채는 ‘텅텅’, 대한민국 아파트 시장 이정도 일줄은..

160
신축아파트 10채 중 4채는 빈집
발 동동 구르는 임대인 “세입자가 없어”
아파트 시장

임대 사업자 A씨는 요즘 걱정이 이만저만이 아니다. 전세 세입자의 만기를 앞두고, 아직도 새로운 세입자를 구하지 못했기 때문이다.

새로 들어오는 세입자에게 전세보증금을 받아 기존 세입자에게 돌려줘야 하는데, 전세 거래는 문의조차 없다.

A씨는 “대출이라도 받아서 임차인들에게 전세금을 돌려주고 싶다”며 “하지만 대출이 전혀 나오지 않는다”며 고충을 토로했다.

“임차인에게 보증금을 못 돌려주면 임차인은 돈을 잃는다”고 말한 A씨는 “임대인의 집은 경매로 넘어갈 것이다”며 두려움에 떨기도 했다.

아파트 시장
출처 : 게티이미지뱅크 (이해를 돕기 위한 이미지)

상황이 안 좋아진 것은 공인중개사 역시 마찬가지다.

공인중개사로 일하는 B씨는 “지금 여기 많이 힘들다”면서 한숨을 내쉬었다.

“우스갯소리로 부동산은 개점휴업이라고 할 정도다. 그 정도로 손님이 없다”고 말한 B씨.

전세 거래가 절벽에 다다른 상황에서 전세 수요는 사라졌고, 몇몇 부동산은 아예 문을 닫아 버렸다.

아파트 시장
출처 : 게티이미지뱅크 (이해를 돕기 위한 이미지)

공인중개사 C씨는 부동산이 폐업하는 이유를 묻자 “거래도 안 되고, 직원들 봉급 줄 능력도 안 되기 때문”이라고 말했다.

세입자 못 구하는 새 아파트, 10채 중 4채

지난 10일, 주택산업연구원의 주택사업자 대상 설문조사 결과 전국 신축 아파트 단지 10채 중 4채는 입주를 하지 못했다.

예비 입주자들이 기존 아파트도 처분하지 못하고, 세입자도 확보하지 못했기 때문이다.

아파트 시장
출처 : 게티이미지뱅크 (이해를 돕기 위한 이미지)

세입자 미확보 요인은 올해 들어 연속 상승세를 보이고 있다. 1월 14.9%에서 4월 33.9%로 30%p 가까이 올랐다.

특히 지방 중 대구·부산·경상권은 2018년 6월 이래 57.0%라는 가장 낮은 입주율을 기록했다.

이렇게 입주를 앞둔 새 아파트에서 세입자를 구하지 못한 사례는 최근 관계자들 사이에서 눈길을 끌었다.

그간 업계 측은 전셋값이 상승하고 있는 이유를 공급 부족이라고 해석해왔기 때문이다.

아파트 시장
출처 : 게티이미지뱅크 (이해를 돕기 위한 이미지)

만약 공급이 부족하여 전셋값이 올랐던 것이라면, 미입주 요인에서 세입자 미확보가 차지하는 비중 또한 줄어야 했다.

분양가 급등하자 휘청이는 전세시장

이에 새로운 전셋값 상승의 원인을 분석하는 움직임이 눈에 띈다.

전셋값이 상승한 가장 유력한 원인으로는 최근 급등한 분양가가 지목됐다.

아파트 시장
출처 : 게티이미지뱅크 (이해를 돕기 위한 이미지)

주택산업연구원은 “인천·경기권 외곽지역을 중심으로 분양 가격이 매매 가격보다 비싸지며 수요와 입주가 감소한 것으로 보인다”고 설명했다.

대구, 부산 지역의 입주율 감소에 대해서도 대구 및 부산의 인기 지역 아파트 전셋값이 상승세를 보이고 있기 때문이라고 말했다.

전세 수요자들이 관망세를 보이는 이유는 현재의 가격 상승이 정상적이지 않거나, 전셋값 상승이 수용 한도를 벗어났다는 뜻이다.

금리 인상에 대한 우려 역시 가격 상승 수용을 어렵게 만드는 요인 중 하나다.

아파트 시장
출처 : 게티이미지뱅크 (이해를 돕기 위한 이미지)

전세시장 얼어붙게 만든 전세 사기

전세 거래는 실종됐지만, 깡통 전세 매물은 여전히 넘쳐난다.

서울 화곡동 일대는 비교적 집값이 저렴해 사회 초년생들이나 신혼부부들이 첫 시작을 하는 지역으로 알려져 있다.

그러나 동시에 화곡동은 전세 사기범들의 주 무대이기도 했다.

아파트 시장
출처 : 게티이미지뱅크 (이해를 돕기 위한 이미지)

‘전세 사기 중심지’라는 인식이 굳어지며 전세 거래가 자취를 감췄으나, 달라진 것은 없었다.

새로운 세입자를 찾지 못한 집주인들이 기존 세입자에게 보증금을 돌려주지 못하면, 또 다른 피해자가 생기는 악순환이다.

주택산업연구원의 관계자는 “최근 정부는 부동산 시장 활성화를 위한 노력을 펼치고 있다”고 말했다.

그러면서도 “하반기 금리 인하 가능성이 낮아지면서 주택 구입 및 전월세 자금을 위한 수요자의 대출 문턱은 더 높아질 것으로 예상된다”고 이야기했다.

피해의 악순환을 끊기 위한 관계자의 지속적인 관심과 모니터링, 그리고 정부의 적절한 정책이 요구되는 시점이다.

실시간 인기기사

+1
0
+1
0
+1
0
+1
0
+1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