체이널리시스, “한국 가상자산 68.9% 중앙화 거래소에서 거래”

125

자료=체이널리시스

한국 가상자산 거래량의 68.9%가 중앙화 거래소를 통해 이뤄졌으며 디파이(DeFi) 거래량은 저조한 수준인 것으로 나타났다.

블록체인 데이터 분석기업 체이널리시스는 ‘2023 글로벌 가상자산 도입 지수-동아시아 보고서’를 통해 이같은 분석 결과를 내놨다.

체이널리시스는 결과에 대한 대표적 요인으로 한국의 규제 프레임워크를 꼽았다. 한국에서는 가상자산 거래소 계좌를 개설하기 위해 개인과 연결된 특정 유형의 은행 계좌를 보유해야 한다. 체이널리시스는 이러한 규정은 기관 플레이어가 가상자산 시장에 진입하는 데 장애물로 작용한다고 봤다. 실제로 한국은 거래 규모를 기준으로 아태지역에서 기관 중심의 거래가 가장 적은 시장으로 나타났다.

또 다른 이유로 테라루나 사건 이후 한국 내 팽배해진 가상자산에 대한 부정적인 정서를 지목했다. 사태 이후 한국 당국은 준비금 보유 요건 등 중앙화 거래소에 적용되는 몇 가지 새로운 규정을 통과시켰다. 탈중앙화된 금융 시스템이 타격을 입은 상황에서 중앙화 거래소에 대한 한국인의 신뢰를 높였을 것으로 체이널리시스는 바라봤다.

반면, 일본은 중앙화 거래소와 다양한 유형의 디파이 프로토콜이 거의 고르게 분포된 글로벌 트렌드를 반영하고 있다. 중국과 홍콩의 경우 대부분의 활동이 장외거래 또는 그레이 마켓 P2P 비즈니스를 통해 이뤄지는 패턴을 보였다.

자료=체이널리시스

또한 가상자산 시장을 주도했던 동아시아는 지난 몇 년 동안 감소세를 보이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동아시아는 지난해 7월부터 올해 6월까지 전 세계 가상자산 활동의 8.8%를 차지하며, 2년 연속 거래 규모 순위가 하락해 5위를 기록했다.

2019년까지만 해도 동아시아는 중국의 거대한 거래 활동과 채굴 부문에 힘입어 거래량 기준 가상자산 상위 시장 중 하나였다. 하지만 계속되는 중국의 엄격한 규제, 한국의 가상자산 규제, 테라루나 류의 사건의 영향으로 동아시아에서는 가상자산이 침체됐다고 체이널리시스는 분석했다.

자료=체이널리시스

한편, 홍콩은 가상자산 친화적인 규제와 이니셔티브를 통해 동아시아 가상자산 시장에서 중요한 플레이어로 자리 잡았다고 체이널리시스는 분석했다. 홍콩은 실거래량 기준으로 매우 활발한 가상자산 시장으로 나타났다. 지난해 7월부터 올해 6월까지 약 640억 달러(약 87조 원)의 가상자산이 유입된 것으로 추정된다. 이는 홍콩의 인구가 중국 본토의 0.5%임에도 불구하고 같은 기간 동안 중국의 864억 달러(약 117조 원)에 크게 뒤지지 않는 수치다. 이 거래량의 상당 부분은 홍콩의 장외거래 시장에서 발생한 것으로 나타났다.

‘2023 글로벌 가상자산 도입 지수-동아시아 보고서’ 전문은 체이널리시스 공식 홈페이지에서 확인할 수 있다.

서정화 기자 spurify@etnews.com

+1
0
+1
0
+1
0
+1
0
+1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