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5만 원 지원금 받아도 “살 수 있는 게 없어요”… 정부의 ‘긴급 정책’으로 드러난 ‘진실’

151
지원금 받아도 장 한 번 보면 끝?
서민 삶 무너뜨리는 먹거리 물가
출산급여
사진 = 연합뉴스

정부가 전 국민에게 ‘민생회복지원금‘을 지급하며 경제를 안정시키겠다고 나섰지만, 일각에서는 “지원을 받아도 체감 물가가 너무 높다”는 우려가 이어진다.

특히 먹거리 가격 상승이 두드러지며 장바구니 부담이 계속되고 있어, 정부는 물가 완화를 위한 할인 정책 등 대응책 마련에 속도를 내고 있다.

먹거리 물가, 체감 상승률은 ‘상상 이상’

출산급여
사진 = 연합뉴스

올해 상반기 전체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2.1%로, 겉으로 보기엔 안정적이지만, 실상은 전혀 다르다.

같은 기간 수산물 가격은 5.1%, 축산물은 4.3%나 올랐다. 외식과 가공식품 물가도 각각 3.1%, 3.7% 상승했다. 무와 보리쌀은 각각 54.0%, 42.0%나 뛰었고, 김과 찹쌀, 배추 등도 20% 넘는 상승률을 보였다.

통계청은 무와 배추의 가격 상승을 기상이변에 따라 출하량이 감소되었으며, 오징어채 역시 해수온 상승으로 어획량이 줄어 가격이 올랐다고 밝혔다.

외식보다 집밥… 2030도 대형마트로

출산급여
사진 = 연합뉴스

계속되는 고물가에 2030세대마저 지갑을 닫으며, 대형마트 간편식 수요가 크게 증가했다.

이마트에 따르면 올해 상반기 간편식 매출은 전년 대비 28% 이상 늘었다. 반찬과 식사빵 매출도 각각 17.2%, 22.5% 상승했다.

대학가 인근 마트에서 이 현상은 더 뚜렷하다. 신촌, 마포 등 주요 대학교 근처 매장에서는 반찬 매출이 30.1%나 증가했다.

롯데마트 역시 대학가 매장의 반찬 매출이 약 20% 상승하며, 전 지점 평균의 4배에 달하는 신장률을 기록했다.

마트 관계자는 “외식비 부담이 커지며 자취생들이 상대적으로 저렴한 간편식을 찾기 시작했다”고 설명했다. 20대 고객의 비중이 눈에 띄게 늘며, 즉석식품과 반찬 코너의 주 고객층이 변화하고 있다는 것이다.

정부의 할인 정책, 서민 부담 덜 수 있을까

출산급여
사진 = 연합뉴스

정부는 서민들의 장바구니 부담을 줄이기 위해 여름철 할인 행사를 본격 추진하고 있다. 식품·유통업계와 협력해 라면, 빵, 커피 등 주요 품목을 최대 50%까지 할인하는 조치를 내놓았다.

팔도는 비빔면을 25%, 농심은 일부 라면을 최대 43% 저렴하게 판매하고, SPC는 식빵과 호떡 등을 절반 가격에 제공하고 있다.

이 같은 정책은 외식비와 먹거리 물가 부담으로 힘들어진 소비자들에게 실질적인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특히 1인 가구나 자취생 중심으로 간편식 수요가 크게 늘고 있는 만큼, 할인 대상 품목들이 실생활에 밀접하게 맞춰졌다는 점에서 긍정적인 반응도 적지 않다.

출산급여
사진 = 연합뉴스

농식품부는 “최근 원자재 가격과 환율 안정 등으로 기업들의 원가 부담이 일부 완화되고 있다”며 “이번 할인 행사를 통해 물가 부담을 체감할 수 있도록 계속 노력하겠다”고 밝혔다.

정부는 최근 발표에서 소비자물가 상승률이 2% 안팎에서 유지되고 있다고 밝혔다. 전체적인 지표는 안정세를 보이고 있지만, 여전히 많은 시민들은 식료품과 외식비 등 생활 밀접 품목에서 부담을 체감하고 있다.

단기간에 체감 물가를 낮추기는 어렵지만, 정부는 주요 품목을 중심으로 가격 안정 효과를 낼 수 있도록 민관 협력을 강화하겠다는 입장이다.

실시간 인기기사

+1
0
+1
0
+1
0
+1
0
+1
0

경제 랭킹 인기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