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원금 받아도 장 한 번 보면 끝?
서민 삶 무너뜨리는 먹거리 물가

정부가 전 국민에게 ‘민생회복지원금‘을 지급하며 경제를 안정시키겠다고 나섰지만, 일각에서는 “지원을 받아도 체감 물가가 너무 높다”는 우려가 이어진다.
특히 먹거리 가격 상승이 두드러지며 장바구니 부담이 계속되고 있어, 정부는 물가 완화를 위한 할인 정책 등 대응책 마련에 속도를 내고 있다.
먹거리 물가, 체감 상승률은 ‘상상 이상’

올해 상반기 전체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2.1%로, 겉으로 보기엔 안정적이지만, 실상은 전혀 다르다.
같은 기간 수산물 가격은 5.1%, 축산물은 4.3%나 올랐다. 외식과 가공식품 물가도 각각 3.1%, 3.7% 상승했다. 무와 보리쌀은 각각 54.0%, 42.0%나 뛰었고, 김과 찹쌀, 배추 등도 20% 넘는 상승률을 보였다.
통계청은 무와 배추의 가격 상승을 기상이변에 따라 출하량이 감소되었으며, 오징어채 역시 해수온 상승으로 어획량이 줄어 가격이 올랐다고 밝혔다.
외식보다 집밥… 2030도 대형마트로

계속되는 고물가에 2030세대마저 지갑을 닫으며, 대형마트 간편식 수요가 크게 증가했다.
이마트에 따르면 올해 상반기 간편식 매출은 전년 대비 28% 이상 늘었다. 반찬과 식사빵 매출도 각각 17.2%, 22.5% 상승했다.
대학가 인근 마트에서 이 현상은 더 뚜렷하다. 신촌, 마포 등 주요 대학교 근처 매장에서는 반찬 매출이 30.1%나 증가했다.
롯데마트 역시 대학가 매장의 반찬 매출이 약 20% 상승하며, 전 지점 평균의 4배에 달하는 신장률을 기록했다.
마트 관계자는 “외식비 부담이 커지며 자취생들이 상대적으로 저렴한 간편식을 찾기 시작했다”고 설명했다. 20대 고객의 비중이 눈에 띄게 늘며, 즉석식품과 반찬 코너의 주 고객층이 변화하고 있다는 것이다.
정부의 할인 정책, 서민 부담 덜 수 있을까

정부는 서민들의 장바구니 부담을 줄이기 위해 여름철 할인 행사를 본격 추진하고 있다. 식품·유통업계와 협력해 라면, 빵, 커피 등 주요 품목을 최대 50%까지 할인하는 조치를 내놓았다.
팔도는 비빔면을 25%, 농심은 일부 라면을 최대 43% 저렴하게 판매하고, SPC는 식빵과 호떡 등을 절반 가격에 제공하고 있다.
이 같은 정책은 외식비와 먹거리 물가 부담으로 힘들어진 소비자들에게 실질적인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특히 1인 가구나 자취생 중심으로 간편식 수요가 크게 늘고 있는 만큼, 할인 대상 품목들이 실생활에 밀접하게 맞춰졌다는 점에서 긍정적인 반응도 적지 않다.

농식품부는 “최근 원자재 가격과 환율 안정 등으로 기업들의 원가 부담이 일부 완화되고 있다”며 “이번 할인 행사를 통해 물가 부담을 체감할 수 있도록 계속 노력하겠다”고 밝혔다.
정부는 최근 발표에서 소비자물가 상승률이 2% 안팎에서 유지되고 있다고 밝혔다. 전체적인 지표는 안정세를 보이고 있지만, 여전히 많은 시민들은 식료품과 외식비 등 생활 밀접 품목에서 부담을 체감하고 있다.
단기간에 체감 물가를 낮추기는 어렵지만, 정부는 주요 품목을 중심으로 가격 안정 효과를 낼 수 있도록 민관 협력을 강화하겠다는 입장이다.
실시간 인기기사
- 90만 원 받고 “150만 원 또 받을 수 있다니”… 민생회복지원금 뛰어넘는 ‘잭팟’ 지원 나왔다
- 서민들은 대출 막혔는데 “46억이 이렇게 쉽게?”… 드디어 들통난 공기관의 상상초월 ‘이중생활’
- 회장님이 목숨 걸고 키웠는데 “50년 만에 쓰러지나”… 줄줄이 무너지는 ‘삼성 신화’
- 제네시스부터 타사 車까지 “결국 이런 식으로” .. 현대차 돌변에 ‘깜짝’
- 업계 쩔쩔매는 와중에 “두 배 넘게 ‘껑충’” … 한국차만 홀로 ‘질주’, 어떻게 이런 일이
- “드디어 코나 뛰어넘나?” … 국산 신형 전기 SUV, 첫 공개 앞두고 ‘들썩’
- “싼타페도 스포티지도 아니다” … 89만대 ‘파격 신기록’ 이끈 진짜 주인공은 ‘이 차’
- 전기차 충전으로 골치 “드디어 해방이다” … 서울시 ‘혁신적 행보’에 시민들 ‘환호성’
경제 랭킹 인기글
경제 최신 인기글
-
“피 같은 돈 21조 쪽쪽 빨아먹고도 모자랐나”… 대통령까지 ‘분노 폭발’, 서민들 등골 노린다
-
“대한민국은 역시 부동산의 나라인가” … 주식·코인보다 이곳에, ‘짠희’ 임원희도 선택한 투자처의 정체
-
“절반이 일반인과 결혼?” … 대기업 총수 자녀 최근 10년 변화, 외국인·일반 직장인 배우자 급증
-
“결국 사장이 없어도 돌아가는 회사” … 성공 사업가 DNA 분석, 시스템 구조화·자동화가 장기 성공 비결
-
한국 이겨보겠다더니 “이게 무슨 망신”… 예상 못한 전개에 중국 지도부까지 ‘허둥지둥’
-
“2040년엔 37.8%까지 증가” … 여성 가장 가구 급증, 경제적 현실과 미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