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뢰 제거 작전, 하늘에서 시작됐다
세계 3번째 소해헬기 보유국 도전
독립 작전 능력 확보 ‘성큼’

미지의 바다 아래 숨은 죽음의 위협, ‘기뢰’를 찾아내 제거하는 ‘하늘의 사냥꾼’이 첫 날개를 펼쳤다. 국산 기술로 개발된 소해헬기 시제기가 첫 시험비행에 성공하면서 한국은 해상작전의 새로운 전기를 맞고 있다.
2022년 시작된 이 프로젝트는 불과 3년 만에 시제기 비행까지 도달했으며, 2030년까지 전력화가 추진된다.
세계 3번째 소해헬기 개발국 도전

방위사업청은 24일, 경남 사천 한국항공우주산업(KAI)에서 국산 소해헬기 시제기의 첫 비행이 성공적으로 이뤄졌다고 발표했다. 이날 현장에는 해군과 국방기술품질원, KAI 등 관련 기관 인사들이 참석해 시험비행 성과를 기념했다.
바다에 설치된 기뢰를 탐색·식별·제거하는 임무를 하는 소해헬기는 국산 상륙기동헬기 ‘마린온(MUH)’을 기반으로 개발됐다.
여기에 미국 등 외국군에서도 성능을 입증받은 ▲레이저 기뢰탐색장비 ▲수중자율 기뢰탐색체 ▲무인기뢰 처리장비 등 3종의 소해임무장비가 탑재됐다.
KAI는 이 헬기를 통해 기존 소해함만으로는 부족했던 해군의 기뢰 대응 역량을 대폭 끌어올릴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현재까지 소해헬기를 개발한 국가는 미국과 이탈리아뿐이며, 이번 프로젝트가 성공적으로 마무리될 경우 한국은 세계 세 번째 소해헬기 보유국이 된다.
내년까지 검증, 2030년 운용 완료 목표

이번 첫 비행 성공은 시작에 불과하다. 방위사업청은 내년 하반기까지 비행시험을 통해 기술적 검증과 안전성 확보를 진행한 뒤, 본격적인 양산 단계로 들어갈 계획이다.
이후 해군은 소해헬기대대를 구성해 2030년까지 운용체계를 완성할 방침이다.
강중희 방사청 항공기사업부장은 “소해헬기를 통해 해군의 기뢰 대응 능력이 실질적으로 강화될 것”이라며, “남은 일정도 흔들림 없이 추진하겠다”고 밝혔다.
이번 개발은 한반도 유사시 독립적 해상작전 수행 능력을 확보하려는 전략적 목적이 크다. 특히 해상 접근로와 상륙 해안의 기뢰 제거 능력은 상륙작전과 해상 교통로 확보에 결정적 역할을 한다.
국산 헬기 기술력, 해병대 전력 확장까지

KAI는 소해헬기 외에도 해병대용 상륙공격헬기(MAH) 개발도 병행 중이다. 이 헬기는 마린온에 무장을 추가한 형태로, 도서 방어 및 분쟁지역 작전 시 공중 화력 지원과 강습 투입 역할을 맡게 된다.
그동안 해병대는 미군 자산에 의존해왔지만, 국산 헬기 개발이 완료되면 전천후 독립 작전 수행이 가능해진다.
또한, 염분 부식 방지 기술, 전자전 장비, 야간 작전 능력까지 갖춘 이번 소해·상륙헬기들은 한국 해군의 통합 해상작전 역량을 크게 확장시킬 전망이다.
실시간 인기기사
- “미래마저 전부 가져다 팝니다”… 4600만 톤 남아도는 상황에 업계 ‘초비상’
- “나라 살리려다 어르신들 죽어간다”… 세계 최악의 현실에 전문가도 ‘일침’
- “단돈 1만 원만 내면 평생 연금 받는다?” … 쏠쏠한 ‘나랏돈 보너스’에 전국이 ‘웅성’
- “남의 불행은 우리의 행복” … ‘희망회로’ 돌리던 中, FIFA 한 마디에 ‘망연자실’
- 강제로 빼앗겼던 이것 “100년 만에 고국으로 돌아온다”… 기적 같은 귀환 소식에 ‘뭉클’
- 빈털터리라더니 “1억이 떡하니”… 정부의 강력한 한방에 줄줄이 ‘백기’
- “이래도 내가 필요 없어?” … 손흥민 기술 앞에 최강 골키퍼들도 ‘절레절레’
- “3170억 받고 손흥민 문 닫아버렸다” … ’42세 현역’ 선언으로 엇갈린 운명, 새 출발 ‘빨간불’
경제 랭킹 인기글
경제 최신 인기글
-
“피 같은 돈 21조 쪽쪽 빨아먹고도 모자랐나”… 대통령까지 ‘분노 폭발’, 서민들 등골 노린다
-
“대한민국은 역시 부동산의 나라인가” … 주식·코인보다 이곳에, ‘짠희’ 임원희도 선택한 투자처의 정체
-
“절반이 일반인과 결혼?” … 대기업 총수 자녀 최근 10년 변화, 외국인·일반 직장인 배우자 급증
-
“결국 사장이 없어도 돌아가는 회사” … 성공 사업가 DNA 분석, 시스템 구조화·자동화가 장기 성공 비결
-
한국 이겨보겠다더니 “이게 무슨 망신”… 예상 못한 전개에 중국 지도부까지 ‘허둥지둥’
-
“2040년엔 37.8%까지 증가” … 여성 가장 가구 급증, 경제적 현실과 미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