美, 철강·알루미늄 50% 관세 전격 발효…韓 철강업계 타격 불가피

133
1일 경기 평택시 포승읍 평택항 수출 야적장에 철강 제품이 쌓여 있다. [사진=뉴시스]
1일 경기 평택시 포승읍 평택항 수출 야적장에 철강 제품이 쌓여 있다. [사진=뉴시스]

【투데이신문 양우혁 기자】 미국 트럼프 행정부가 철강·알루미늄 제품에 대한 고율 관세를 공식 발효하면서 한국 철강업계에 비상이 걸렸다. 현지시간 기준 4일 0시 1분(한국시간 오후 1시 1분)부터 미국으로 수출되는 철강·알루미늄 제품에 대해 기존보다 두 배 높은 50%의 관세가 적용된다.

이번 조치는 이날부터 미국 내로 반입되는 모든 수입산 제품에 적용되며, 이미 부과된 관세는 사후 환급되지 않는다. 다만 미국과 별도 무역 합의가 체결된 영국은 예외적으로 25% 관세율이 유지된다.

트럼프 대통령은 지난달 말 이 같은 조치를 전격 발표한 바 있다. 앞서 3월부터 철강과 알루미늄에 각각 25%의 관세가 부과됐지만, 이를 보완한다는 명목 아래 단기간 내 추가 인상이 이뤄졌다. 다만 시장 일각에선 이번 조치가 경제 논리보다는 정치적 셈법에 가깝다는 분석도 나온다.

특히 트럼프 대통령이 최근 연설을 통해 언급한 미국 철강사 US스틸의 매각 이슈와 관련된 점이 주목된다. 현재 일본제철은 US스틸 인수를 추진하고 있으며, 이를 전제로 약 20조 원 규모의 미국 내 신규 투자 계획도 함께 밝힌 상태다. 트럼프 대통령이 자국 내 투자 확대를 압박하는 수단으로 고율 관세를 활용하고 있다는 해석에 힘이 실리는 이유다.

철강 수출 비중이 높은 한국으로선 타격이 불가피하다. 기존에는 일정 물량을 무관세로 수출할 수 있었지만, 올해 들어 무관세 쿼터가 사라지고 고율 관세가 연이어 적용되면서 수출 환경이 급변하고 있다. 특히 50%에 달하는 관세는 가격 경쟁력을 크게 훼손시켜, 사실상 수출 자체가 어려워졌다는 게 업계의 중론이다.

미국 철강업계에는 단기 호재로 작용할 수 있지만, 전반적인 자재 비용 상승은 결국 제조업과 소비자 부담으로 이어질 수 있다는 지적도 있다. 철강 수입에 의존하던 미국 제조사들이 원가 상승 압박을 받을 수밖에 없기 때문이다.

한 철강업계 관계자는 “이번 조치는 단순한 보호무역을 넘어, 외국 기업의 미국 내 투자를 압박하려는 신호로 해석된다”며 “현지 투자 여력이 부족한 기업들은 직접적인 타격을 입을 수 있는 만큼, 조속한 대응 전략 마련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1
0
+1
0
+1
0
+1
0
+1
0

경제 랭킹 인기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