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리 오르고 집값 요동치자
경매 물건 급증, 연체도 사상 최대

최근 서울 강남 집값은 치솟는 반면, 비강남권과 지방의 부동산 가격은 떨어지며 ‘역전 현상’이 벌어졌다. 정부 정책의 방향 전환과 고금리 장기화는 서민과 중산층의 자산에 직격탄이 됐다.
영혼까지 끌어모아 대출받은 이들은 연체에 시달리고, 결국 집을 경매에 넘기는 상황에 내몰리고 있다. ‘집 한 채가 전부’였던 이들의 절규가 거리로 새어 나오고 있다.
경제정의실천시민연합(경실련)에 따르면, 2022년 5월부터 올해 4월까지 전국 아파트 평균 매매가는 5억 6000만 원에서 5억 2000만 원으로 8% 하락했으며, 5대 광역시는 같은 기간 13% 떨어졌다.
그러나 서울 강남 3구는 전혀 다른 흐름을 보였는데, 경실련 자체 조사에서 이 지역 30평형 아파트 가격은 오히려 4억 7000만 원, 즉 18%나 올랐다.

같은 기간 서울 전체는 2% 하락했음에도 강남만 유일하게 상승한 것이다.
정택수 경실련 부장은 “강남 집값은 정부 정책과 수요 집중의 영향으로 여전히 상승 중”이라며 “2023년 보합이던 서울 집값이 올해 들어 오른 건 매입임대 확대가 자극제가 됐다”고 분석했다.
평균임금을 받는 노동자가 강남에 집 한 채를 사기까지 걸리는 시간은 무려 74년으로, 이는 3년 전보다도 5년이 늘어난 수치다.
경실련은 이 같은 양극화를 “강남공화국이 더 공고해졌다는 방증”이라며, 불로소득 차단 정책의 필요성을 강하게 주장했다.
영끌의 끝은 연체… ‘금융 위험’ 경고등

고금리와 경기 침체가 지속되면서, 집을 사기 위해 무리하게 대출을 받았던 ‘영끌족’들이 연체의 덫에 빠지고 있다.
한국은행에 따르면 2024년 2월 서울의 주택담보대출 연체율은 0.35%로, 관련 통계 작성 이래 최고치로, 2021년 12월 0.09%에서 꾸준히 상승한 결과다.
연체율이 급등한 것은 대출로 집을 산 이들이 금리 상승을 감당하지 못하고 있다는 방증으로, 서울 차주들은 소득의 40.6%를 대출 원리금 상환에 쓰고 있다.
시중은행 관계자는 “고정금리 기간이 끝난 차주들이 갑자기 오른 금리에 대응하지 못해 연체가 늘고 있다”며, 실제 시장에서는 이들이 임의경매로 내몰리는 사례가 많아졌다고 전했다.
경매 시장 ‘빨간불’… 전국에서 쏟아지는 매물

올해 1~4월 동안 전국의 임의경매 신청 건수는 1만 8563건으로, 전년 동기 대비 27.5% 증가했다.
특히 집합건물의 경우 7726건으로 전체의 약 42%를 차지했다. 서울에만 788건, 그중 강남3구는 129건이었다.
전문가들은 고금리 상황이 지속될 경우, 이런 추세가 쉽게 꺾이지 않을 것으로 보고 있다.
지지옥션 이주현 전문위원은 “금리가 높을수록 임의경매는 늘어난다”며 “최근 경매 신청은 금융기관이 담보권을 행사하는 경우가 대부분”이라고 설명했다.
집값이 오를 것이라는 기대만으로 무리하게 대출을 받았던 이들은 현재 예상치 못한 상황에 직면했다.
대출 상환에 어려움을 겪는 사례가 늘면서, 집이 자산이 아닌 부담으로 바뀌고 있다는 지적이 나온다.
실시간 인기기사
- “더 이상 지켜보고 있을 순 없다”… 인당 ‘720만 원’ 지원금 소식에 ‘환호’
- 16년 만의 ‘최악의 불황’에 “이런 이유가 있었다니”… 뜻밖의 ‘반전’ 밝혀지자 ‘발칵’
- 해킹 터진 SK “결국 사업 넘긴다”… 파격적인 매각 결단에 업계 ‘발칵’
- “테슬라도, 현대도 아니었다” … 3년 연속 1위 등극한 전기차의 정체
- “더 이상 지켜보고 있을 순 없다”… 인당 ‘720만 원’ 지원금 소식에 ‘환호’
- 4700억 손실에도 “다시 돌아간다” … 현대차·기아, 심상치 않은 움직임에 ‘들썩’
- 16년 만의 ‘최악의 불황’에 “이런 이유가 있었다니”… 뜻밖의 ‘반전’ 밝혀지자 ‘발칵’
- “한국 고객 없었다면 불가능했죠”, “사랑에 보답합니다” … BMW 한정판 5종 ‘공개’
경제 랭킹 인기글
경제 최신 인기글
-
“피 같은 돈 21조 쪽쪽 빨아먹고도 모자랐나”… 대통령까지 ‘분노 폭발’, 서민들 등골 노린다
-
“대한민국은 역시 부동산의 나라인가” … 주식·코인보다 이곳에, ‘짠희’ 임원희도 선택한 투자처의 정체
-
“절반이 일반인과 결혼?” … 대기업 총수 자녀 최근 10년 변화, 외국인·일반 직장인 배우자 급증
-
“결국 사장이 없어도 돌아가는 회사” … 성공 사업가 DNA 분석, 시스템 구조화·자동화가 장기 성공 비결
-
한국 이겨보겠다더니 “이게 무슨 망신”… 예상 못한 전개에 중국 지도부까지 ‘허둥지둥’
-
“2040년엔 37.8%까지 증가” … 여성 가장 가구 급증, 경제적 현실과 미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