명품도 외면받는 시대다
소비는 ‘여행’에 몰리고 있다
명품 소비는 중고로

없어서 못 사던 샤넬 매장에서 손님들의 발길이 뚝 끊겼다. 지난 몇 년간 호황을 누리던 명품 시장이 꺾였다.
경기 침체와 소비심리 악화가 맞물리며, 고가의 명품보다 여행과 실속 소비에 돈을 쓰는 흐름이 확산하고 있다.
소비 위축, 명품도 피해 가지 못했다

데이터플랫폼 아이지에이웍스가 8일 공개한 자료에 따르면, 올해 1분기 신용·체크카드 결제액 중 명품 소비는 전년 동기 대비 19.0% 감소해 전 업종 중 가장 큰 하락폭을 보였다.
반면 항공권(20.7%)과 숙박·여행(5.5%) 관련 지출은 오히려 증가했다. 명품은 줄였지만 여행엔 돈을 아끼지 않는 소비 심리가 명확히 드러났다.
생필품과 문화 콘텐츠, 뷰티·헬스케어까지 대부분의 지출이 줄었지만, 소비자들은 휴가와 비행기 티켓에는 상대적으로 너그러웠다.
백화점 결제액은 4.3% 증가했지만, 온라인쇼핑과 마트·편의점 지출은 각각 9.5%, 2.0% 줄었다. 특히 쿠팡은 3월 기준 결제금액 점유율이 64%에 달하며 온라인쇼핑몰 시장을 휩쓸었다.
백화점 명품, 성장세 꺾이고 구조조정 본격화

한때 매년 40%에 육박하는 성장을 자랑하던 명품 시장은 2023년부터 급제동이 걸렸다. 백화점 업계에 따르면 지난해 명품 패션 부문 매출은 전년 대비 5~11% 소폭 증가에 그쳤다.
루이비통, 디올, 셀린느 등을 보유한 LVMH는 지난해 매출이 2% 감소하고, 순이익은 14% 줄었다. 에르메스 역시 아시아·태평양 지역에서 매출 성장률이 1%에 그쳤다.
수입 뷰티 시장 역시 예외는 아니었다. 에스티로더는 최대 7000명의 직원을 감원하는 구조조정에 나섰고, 일부 글로벌 브랜드는 한국 시장에서 브랜드 포트폴리오 재정비에 착수했다.
‘새것 같은 중고’로 몰리는 명품 소비

고물가·경기침체 속 소비자들의 명품 소비는 ‘중고’로 흘러가고 있다. 중고거래 앱에서는 실생활 용품은 물론 고가 명품의 거래도 활발해지고 있다.
중고시장 규모는 2008년 4조원에서 지난해 35조원으로 커졌고, 올해는 43조원을 넘어설 것으로 전망된다. 한 중고 플랫폼에 따르면, 지난해 명품 거래 건수는 전년 대비 93% 늘어났다.
플랫폼 관계자는 “정품 여부를 가려내는 감정 시스템 수요도 폭증하면서, 인력 양성과 기술 투자에 집중하고 있다”고 밝혔다.
샤넬 앞에 늘어섰던 긴 줄도, 이제는 눈에 띄게 줄었다. 냉각된 소비 심리는 명품 시장에도 분명한 흔적을 남기고 있다.
실시간 인기기사
- “중국에게 절대 안 뺏긴다”… 무차별 공세에도 빛나는 삼성의 독보적인 ‘저력’
- 수십 년 동고동락하다 “이제 혼자 살래” … 노년층 이혼 상담률에 ‘깜짝’, 이유 살펴보니
- 일본에게까지 밀려나더니 “세계 최하위라니”… 한국 앞에 펼쳐진 ‘최악의 미래’
- “벤츠 제치고 1위 탈환했다” … 다양한 파워트레인 세단의 ‘색다른 승부수’
- “중국에게 절대 안 뺏긴다”… 무차별 공세에도 빛나는 삼성의 독보적인 ‘저력’
- 벤츠도 BMW도 아닌데 “만족도 비슷하네요” … SUV 연비 혁신, 실사용 15.6km/L에 ‘환호’
- 수십 년 동고동락하다 “이제 혼자 살래” … 노년층 이혼 상담률에 ‘깜짝’, 이유 살펴보니
- “쏘렌토 비켜라” … 실사용자 인증 연비 20km/L, 하이브리드 SUV의 새로운 강자의 ‘정체’
경제 랭킹 인기글
경제 최신 인기글
-
“피 같은 돈 21조 쪽쪽 빨아먹고도 모자랐나”… 대통령까지 ‘분노 폭발’, 서민들 등골 노린다
-
“대한민국은 역시 부동산의 나라인가” … 주식·코인보다 이곳에, ‘짠희’ 임원희도 선택한 투자처의 정체
-
“절반이 일반인과 결혼?” … 대기업 총수 자녀 최근 10년 변화, 외국인·일반 직장인 배우자 급증
-
“결국 사장이 없어도 돌아가는 회사” … 성공 사업가 DNA 분석, 시스템 구조화·자동화가 장기 성공 비결
-
한국 이겨보겠다더니 “이게 무슨 망신”… 예상 못한 전개에 중국 지도부까지 ‘허둥지둥’
-
“2040년엔 37.8%까지 증가” … 여성 가장 가구 급증, 경제적 현실과 미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