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럽 첫 진출에 50조 경제효과
체코 원전 수주, 전 세계가 주목

“체코가 미국과 프랑스를 제치고 한국을 선택했다.”
지난 2009년 UAE 바라카 원전 수출 이후 16년 만에, 한국이 다시 한 번 세계 원전 시장에서 존재감을 드러냈다.
체코 정부와의 대규모 원전 수출 본계약 체결을 앞두고, 총 50조 원 이상의 경제 효과를 기대케 하는 초대형 프로젝트가 가시화됐다.
K-원전, 유럽을 뚫다

오는 7일, 한국수력원자력(한수원)을 중심으로 구성된 ‘팀코리아’는 체코전력공사(CEZ)와 두코바니 원전 2기 건설 사업의 본계약을 체결한다.
이 프로젝트는 원전 1기당 약 12조 원, 총 24조 원 규모에 달하며, 운영과 기자재 수출, 인프라 투자까지 포함하면 그 효과는 50조 원 이상으로 추산된다.
이번 수주는 기술력과 경제성, 안정성을 두루 갖춘 ‘K-원전’이 유럽에서 처음으로 인정받은 순간으로, 단순한 계약 이상의 의미를 갖는다.
특히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 이후 에너지 안보와 탄소중립을 동시에 추구하는 유럽에서, 한국의 원전이 신뢰를 얻은 것은 결정적인 성과다.
현대사의 최대 인프라 수출로 평가되는 이번 사업은 향후 원전 2기 추가 수주 가능성까지 열어두고 있으며, 동유럽과 EU 전역으로의 확장도 기대된다.
“정해진 예산, 정해진 시간”… 신뢰로 승부

한수원이 제시한 APR1000 노형은 체코의 요구조건에 부합하면서도 ‘정해진 예산 내 적기 시공’을 보장하는 경쟁력을 자랑했다.
여기에 체코 사회와의 협력, 현지 맞춤형 전략이 맞물리며 프랑스 EDF와 미국 웨스팅하우스를 따돌릴 수 있었다.
한수원 황주호 사장은 체코를 7차례나 방문해 정치·산업계 주요 인사들과 소통했으며, 기술 교류회와 문화 행사, 아이스하키팀 후원 등 다양한 방식으로 현지의 신뢰를 끌어냈다.
실제로 지난 2월, 방한한 체코 산업통상부 장관과의 면담에서도 체코 측은 “한국 기술에 대한 신뢰가 깊다”며 협력 의지를 밝혔다.
K-원전의 전략… 수출길 더 넓어진다

한수원은 기술력뿐 아니라 국제 안전 기준 충족으로도 경쟁력을 입증받았다.
지난 1일, 독일 인증기관 TUV-SUD는 한수원의 통합경영관리 체계가 국제원자력기구(IAEA)의 GSR-파트2 요건을 충족한다고 검증했다.
이는 유럽과 중동 등 신규 원전 발주국에서 입찰 조건으로 요구하는 조건으로, 이를 통해 우리나라의 수출 경쟁력은 더욱 높아졌다.
또한, 한수원은 ‘신밧드(SINBAD)’라는 이름의 대규모 해외 판로 지원 사업을 시작했다.
체코 특화 프로그램을 통해 중소기업의 ISO19443(유럽 품질경영시스템) 인증과 현지 맞춤형 전략 수립 등을 지원하며, 동반 진출을 유도하고 있다.
황주호 사장은 “신밧드를 통해 수출 자립화 기반을 마련하고, 협력 기업들과 함께 세계 시장에 우뚝 서겠다”며 K-원전의 글로벌 입지를 더 넓히겠다는 전략을 밝혔다.
실시간 인기기사
- “회장님의 후회가 운명 뒤집었다”… 세계가 인정한 삼성의 ‘승부수’
- 정년 연장된다더니 “뒤통수 맞았다”… ‘月 70만 원’으로 살아가는 100만 명 ‘절망’
- 똑같이 일하는데 “월급 절반만 받고 있었다”… 8년째 제자리, 846만 명 ‘눈물’
- “단순히 빠르기만 한 차가 아닙니다” … 550마력 괴물 왜건, 한국 상륙 ‘초읽기’
- “회장님의 후회가 운명 뒤집었다”… 세계가 인정한 삼성의 ‘승부수’
- “미국인들이 더 열광”… 현대차·기아, 또 ‘잭팟’ 터졌다, 업계 분위기 ‘활짝’
- 정년 연장된다더니 “뒤통수 맞았다”… ‘月 70만 원’으로 살아가는 100만 명 ‘절망’
- “하이브리드의 한계를 무너뜨리다” … 880마력, 폭발적 스펙에 업계도 ‘깜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