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中 밀어내고 ’42조’ 시장 제패 나선다”… 쏟아지는 러브콜에 韓 기업들 ‘환호’

306
美, 선박 수수료 카드로 조선판 흔들어
한국 조선업계, 반사이익에 기대감↑
기업
사진 = 연합뉴스

미국이 자국 항만에 들어오는 중국산 선박과 중국 해운사에 고율의 수수료를 부과하는 방안을 추진하면서 조선업계가 술렁이고 있다.

3월 24일(현지시간) 미국 무역대표부(USTR)가 개최한 공청회 이후, 중국 조선소에 선박을 맡기려던 글로벌 기업들이 잇따라 주문을 철회하고 있다.

엑손모빌은 LNG 벙커링 선박 2척을 중국에 맡기려다 계약을 취소했다. 이들은 이미 건조 슬롯까지 확보해둔 상태였지만, 최종 계약을 포기했다.

미국 정부는 중국산 선박에 최대 150만 달러, 중국 해운사가 운항하는 선박엔 100만 달러의 입항 수수료를 부과할 계획이다.

기업
사진 = 연합뉴스

운항 선사가 중국 조선소에서 선박을 건조했거나 발주한 이력이 있으면 추가 부과 대상이 될 수도 있다.

이런 움직임은 한국 조선업계에 ‘반사 이익’으로 작용하고 있다. 특히 LNG, 군함, 대형 상선 등 고부가가치 선박에 강점을 가진 한국 조선사들이 주목받고 있다.

조선업계 관계자는 “엑손모빌이 취소한 선박은 중국과 한국 정도만 건조 가능한 고난이도 제품”이라며 “물량이 한국으로 넘어올 가능성이 크다”고 전했다.

韓, 기술력 앞세워 조선업 승기 잡나

기업
사진 = 연합뉴스

트럼프 대통령이 집권 2기를 맞아 조선산업 재건을 핵심 정책으로 내세우면서, 한국 조선사들이 주요 협력국으로 부상하고 있다.

트럼프 대통령은 지난해 말 당선 직후 한국 조선업의 기술력에 깊은 인상을 받았다고 강조했으며, 이후 백악관 내에 조선산업 전담 사무국을 설치했다.

3월 초 의회 연설에서도 “군용과 민간 선박을 모두 되살리겠다”며 미국 조선업 부활을 주요 국정 과제로 내세웠다.

미국 해군 역시 2054년까지 381척의 함정을 보유한다는 계획 아래 매년 12척 이상의 신규 선박을 확보해야 한다.

기업
사진 = 연합뉴스

하지만 현재 미국 조선소만으로는 이 수요를 감당하기 어렵다는 현실에 직면했다.

이에 따라 미 의회는 북대서양조약기구(NATO) 회원국이나 인도·태평양 지역 동맹국의 조선소를 활용할 수 있도록 법안을 발의했다.

한국은 그 핵심 파트너로 지목되고 있다.

한국기업평가는 3월 31일 열린 산업전망 세미나에서 “미국의 해양 정책 변화는 한국 조선사에 긍정적”이라며 “중국산 선박에 부담이 커질수록 한국의 수주 경쟁력은 높아진다”고 내다봤다.

42조 규모의 美 조선시장, 韓 기업들 속속 진출

기업
사진 = 연합뉴스

이에 국내 조선사들도 미국 시장 공략에 속도를 내고 있다. HD현대와 한화오션은 미국 해군의 유지·보수·정비(MRO) 사업에서 존재감을 키우고 있다.

한화오션은 필리조선소를 거점 삼아 군함 및 상선 분야에서 추가 진출을 타진 중이다.

앞서 완료한 MRO 프로젝트를 통해 미국 측의 기술 신뢰를 확보했고, 이에 따라 올해 5~6척의 비전투함 정비 물량을 한국에 맡기겠다는 계획도 수립됐다.

기업
사진 = 연합뉴스

HD현대 역시 미국 내 설비 확충과 직접 투자 가능성을 열어두고 있다. 정부도 산업부, 외교부, 국방부가 함께 대응 TF를 구성해 적극적으로 지원하고 있다.

2월 방미한 안덕근 산업통상자원부 장관은 “군함, 탱커, 쇄빙선 등 대량 발주가 이뤄지면 한국 조선사가 우선 제작할 수 있도록 협의했다”며 미국 측의 긍정적 반응을 전했다.

미국과 중국의 전략적 갈등이 심화되는 가운데, 한국 조선사들이 유력한 대안으로 떠오르면서 글로벌 시장의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실시간 인기기사

+1
0
+1
0
+1
0
+1
0
+1
0

경제 랭킹 인기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