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경제의 불확실성으로 금값이 고공행진하는 가운데 미국의 대형 투자은행 골드만삭스가 올해 연말 금값 전망치를 온스당 3100달러로 전망했다.
이는 현 시세인 2900달러보다 200달러쯤 높은 것은 물론이고, 기존 예상치 3000달러보다도 100달러 상향 조정된 수치다.
전문가들은 각국 중앙은행의 금 매입 증가와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연준)의 금리 인하,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관세 정책에 따른 투자자들의 우려 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하면서 금값을 끌어리고 있다고 분석했다.

18일 블룸버그통신에 따르면 골드만삭스의 애널리스트 리나 토머스와 단 스트루이븐은 최근 보고서에서 “각국 중앙은행의 금 매입이 증가하고 있고, 금을 기반으로 하는 상장지수펀드(ETF)에 대한 자금 유입하고 있다”며 연말 금 가격 목표를 온스당 3100달러로 올렸다.
보고서는 중앙은행들의 금 매입 수요가 예상치보다 많은 월평균 50t에 달할 수 있다고 전망했다.
골드만삭스는 미국의 관세 부과를 포함해 경제 정책에 대한 불확실성이 지속될 경우 투기적 수요가 많아지면서 금값이 온스당 최고 3300달러에 달할 수도 있다고도 봤다. 이럴 경우 올해 금값 상승률은 26%가 된다.
관세를 포함해 무역정책의 불확실성이 지속되면 투기적 포지션으로 인해 금 수요가 증가할 수 있고, 그 결과 금값이 상승할 수밖에 없다는 것이다.
보고서는 특히 인플레이션과 미국 재정위기에 대한 우려가 커지면 각국 중앙은행, 특히 미국 국채를 많이 보유한 중앙은행이 위험 분산을 위해 금을 더 많이 매입할 수 있다고 봤다.
지난해 12월 공식 부문의 금 수요는 108t에 달했다. 이 중 중국이 45t을 차지했다.
한편, 이날 오후 3시 30분 한국금거래소의 금 한 돈 가격은 살 때(부가가치세 포함) 59만7000원, 팔 때(금은방)는 55만원이다.
- “LG 창업주 손자, 한국에 50조원 규모 세계 최대 AI 데이터 센터 건설 추진”
- 트럼프, “자동차·반도체·의약품 관세 25% 이상…미국에 투자할 시간 주고 싶다”
- [풀·꽃·나무 이야기] 동물을 잡아먹는 식물…’끈끈이주걱’
- [최봉균의 生生클리닉] 너부데데한 얼굴 작게 만들려면
- 유준원 상상인 대표에 징역 4년, 벌금185억원…법원 “불법대출·시세조종” 판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