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민국이 2025 하얼빈 동계 아시안게임에서 금메달 16개와 은메달 15개, 동메달 14개를 수집하며 종합 2위로 피날레를 화려하게 장식했다.
우리 선수단은 대회 마지막 날인 14일 금·은·동메달을 하나씩 추가했다.

사상 최대인 금메달 16개는 직전 대회인 2017년 삿포로 대회와 타이기록이다. 우리나라는 삿포로 대회에서 금메달 16개에 은메달 18개와 동메달 16개로 역대 최고 성적을 올린 바 있다.
대한체육회의 이번 대회 목표가 금메달 11개 정도였으나 선수단이 이를 넘어 종합 2위 수성 목표를 지켜내며 대회를 성공적으로 마친 것.
우리 선수단은 대회 마지막 날 남녀 컬링과 남자 아이스하키에서 메달을 수확했다.
중국 하얼빈의 핑팡 컬링 아레나에서는 금메달과 은메달이 하나씩 나왔다.
스킵 김은지, 서드 김민지, 세컨드 김수지, 리드 설예은, 핍스 설예지가 나선 여자 컬링 대표팀 경기도청은 개최국 중국과의 결승전에서 7-2로 완승했다. 2007년 창춘 대회 이후 18년 만에 아시아 정상을 탈환한 것.
스킵 이재범, 서드 김효준, 세컨드 김은빈, 리드 표정민, 핍스 김진훈으로 구성된 남자 컬링 대표팀 의성군청은 아쉽게도 필리핀과의 결승전에서 3-5로 패해 은메달을 획득했다. 귀화한 스위스 대표 출신 선수들로 팀을 꾸린 ‘우승 후보’ 필리핀의 벽을 넘지 못했다.
남자 아이스하키 대표팀은 동메달 결정전에서 중국에 5-2 역전승했다. 남자 아이스하키 대표팀은 전날 일본과의 준결승전에서 슛아웃(승부치기) 끝에 져 사상 첫 금메달 꿈은 이루지 못했지만, 2007년 창춘 대회(동메달)부터 4회 연속 아시안게임 입상에 성공했다.
여자 아이스하키 대표팀은 중국, 일본, 카자흐스탄과 풀리그로 메달을 다툰 본선에서 3전 전패를 기록하며 4위로 대회를 마무리했다.
개최국 중국은 이번 대회 전체 금메달 64개 중 절반인 32개를 휩쓸며 종합 우승(은27·동26)을 달성했다. 일본(금10·은12·동15)은 우리나라에 이어 3위다.
한편, 처음으로 겨울 국제종합대회에 출전한 북한은 11일 피겨스케이팅 페어에서 렴대옥-한금철이 유일한 은메달을 수확하며 7위로 대회를 마쳤다.
- 에어프레미아 “작년 실적 창사 이래 최대”…첫 당기순이익도 달성
- SPC삼립, 1900원에 한끼 식사 해결…런치빵 출시
- SK바이오팜, 빅파마 출신 연구진 영입해 R&D 글로벌 경쟁력 높인다
- 이랜드월드, 뉴발란스와 2030년까지 라이선스 계약 연장
- [풀·꽃·나무 이야기] 공기 중 수분을 먹고 사는 ‘에크메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