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무제표 읽는 남자] 너도 나도 커피값 인상…원두값 내리면 커피값도 내리나?

2

스타벅스가 아메리카노 가격을 4500원에서 4700원으로 200원 인상했다. 4.4% 상승이다. 지난해부터 스타벅스를 비롯한 일부 커피 브랜드에서 가격 인상을 단행했는데 이유로 커피 원두 가격의 급등을 들었다.

▲스타벅스 프레스센터점. /스타벅스코리아
▲스타벅스 프레스센터점. /스타벅스코리아

2024년 전 세계 원두의 평균 가격이 60~70% 이상 올랐으며, 생산량의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던 브라질과 베트남의 ‘이상 기후’가 원두 생산량을 급감시킨 게 주요 원인이다. 타당한 이유이고, 고작 200원이라니 반대할 명분이 별로 없어 보인다.

하지만 1000원짜리 한 장으로 사 먹을 게 없는 고물가 시대에 “이게 맞나.”

따져 볼 건 꼼꼼히 챙겨야 한다. 제품과 상품 생산자인 기업의 어려움을 충분히 이해하지만, 이러다 원가상승·인플레이션·환율 등 모든 문제를 소비자가 떠안을 판이다.

스타벅스를 운영하고 있는 에스씨케이컴퍼니 2023년 매출액은 약 2조9000억원이고, 영업이익 1397억원과 당기순이익 1175억 원을 기록해 전년도에 비해 13%의 매출신장과 당기순이익 4%를 기록했다. 스타벅스코리아는  매장수 전세계 4위를 기록하는 등 소위 잘나가는 편이다.

▲2023 에스씨케이컴퍼니 감사보고서. /DART
▲2023 에스씨케이컴퍼니 감사보고서. /DART

커피 가격 인상과 매우 유사한 사례가 있다. 바로 치킨이다. ‘서민의 가성비 배달 음식’, ‘치맥은 못 참지’ 등 우리나라만큼 치킨 외식 문화가 발달한 곳이 드물다. 그만큼 브랜드와 치킨 프렌차이즈 기업도 많은데 2020~2022년 사이 주요 치킨 3사(BHC·BBQ·교촌치킨)가 원재료 비용 상승을 이유로 치킨 가격을 약 3000원 올렸다.

1만원 안팎이면 사먹던 치킨이 이제는 2~3만원에 이르자 가격 인상 폭이 과도하다는 지적이 많았는데 3사의 손익계산서 매출원가율(매출액 대비 매출원가 비율)을 따져 보면 흥미로운 사실을 알 수 있다. 기업마다 원가 산출 방식의 차이가 있겠지만 2022년도 원가 상승이 발생했다. 하지만 그해 판매관리비 등 다른 비용 절감을 통해 어느 정도의 이익을 확보했다. 가격 상승만큼 ‘딱 그만큼’ 매출액이 상승하거나, 반대로 교촌치킨은 매출액이 하락했다. 가격 상승 이듬해 치킨 3사의 매출원가율은 모두 하락했다.

▲치킨 3社 매출원가율 추이.
▲치킨 3社 매출원가율 추이.

다시 커피로 돌아가자. 2023~2024년 사이 커피 원두 가격이 급등한 것은 사실이지만, 스타벅스(에스씨케이컴퍼니) 전체 비용 증가는 13%에 불과하다. ‘주석’ 비용의 성격별 분류 정보로 확인해 보면 원재료는 6% 증가했다. 엇비슷한 비중의 인건비, 임차료, 지급수수료 등 관리비 상승이 수익성 악화의 주된 요인이다. 스타벅스 2023년 매출액 2조9000원을 기준으로 매출원가율은 49.1%로 전년도 대비 단 0.2% 증가에 그쳤다.

블루보틀(블루보틀커피코리아)과 커피빈(커피빈코리아) 손익계산서에서도 비슷한 원가 구조를 확인할 수 있다. 블루보틀의 매출원가 중 원두가 포함된 제품매출원가는 전체 매출액 대비 12~13% 수준이며, 커피빈코리아의 제품매출원가는 32%에 불과하다. 즉, 커피 한 잔을 만들어 파는 데 드는 재료비는 아무리 높게 잡아도 가격의 30% 이하고 이 중에 원두가 차지하는 비중은 더 작다.

그렇다면 가격 인상의 주된 요인이 원두가 아니라 원두를 포함한 인건비, 임차료, 마케팅 비용 증가에 있다고 보는 편이 정확할 것이다. 커피 한 잔에 원두 비용은 400~500원에 불과하다.

▲스타벅스 2023 보고서 중 주석 '비용의 성격별 분류'. /DART
▲스타벅스 2023 보고서 중 주석 ‘비용의 성격별 분류’. /DART

원가 상승을 명분으로 한 가격 인상의 문제는 가격 상승 부담이 소비자에게 전가된다는 점 외에도 ‘의문의 1패’를 당하는 소규모 동종업계 사업자가 생긴다는 데 있다. 대기업 커피점이나 치킨 프랜차이즈 등 브랜드 파워가 높은 기업들은 시장 점유율을 통해 손쉽게 가격 인상을 결정할 수 있다. 반면 소규모 카페 자영업자들은 고객 이탈 가능성이 크기 때문에 가격을 올리기 어렵다.

이윤이 목적인 기업에게 ‘너희가 손해를 더 봐’라고 강요할 순 없다. 가격 결정은 생산자가 하고, 이에 대한 구매 결정은 소비자가 하니 비싼 곳을 외면하면 그만이기 때문이다. 하지만 일시적인 원가 상승을 극복하는 노력을 부탁해 본다.

▲커피숍. /ChatGPT4
▲커피숍. /ChatGPT4

보통 제조업 기업들은 물가 상승기에 다음과 같은 전략을 통해 원가 부담을 줄일 수 있다. 원자재 구매에 장기 계약을 통한 가격 변동성 완화, 거래처를 다변화 등 원재료 공급망의 최적화 구축 등 시도해볼 방법이 없지 않다. 그리고 소비자의 깐깐함도 필요하다.

기업들은 원가 상승을 이유로 가격을 올리지만, 소비자들은 반드시 그 배경에 관심을 가져야 한다. 재무제표 손익계산서와 주석을 확인하면 원가 상승분이 얼마나 실제 가격에 반영되었는지, 기업의 비용 구조는 어떻게 변화했는지 확인할 수 있다. 소비자들이 합리적인 감시자가 되어 기업의 가격 정책을 면밀히 검토할 필요가 있다. 원가가 하락한다고 가격을 내리는 경우는 사실상 없기 때문이다.

+1
0
+1
0
+1
0
+1
0
+1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