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녹색경제신문 = 정수진 기자] 금융위원회가 내수경제 부진 등을 감안해 올해 정책서민금융을 역대 최대 규모인 11조원 수준으로 공급한다.
9일 금융위원회는 김소영 부위원장 주재로 관계부처 및 서민금융기관, 민간 전문가와 함께 개최한 ‘2025년 제1차 서민금융협의회'(이하 협의회)에서 서민층의 금융지원 현황을 점검하고, 정책서민금융 공급 및 운영계획을 본격적으로 논의했다.
이번 발제에서 김영일 박사는 “최근 민간 금융회사의 주택담보대출 및 신용대출 추이를 분석한 결과와 올해 경제·금융 여건을 감안할 때, 향후, 서민·취약차주를 중심으로 자금 조달이 원활하지 못할 가능성이 있다”고 지적했다.
이에 서민금융협의회 참석자들은 민간서민금융을 보다 활성화하는 가운데, 민간서민금융 위축가능성을 보완하기 위한 정책서민금융의 역할이 중요하다는 데 의견을 모았다.
이에 금융위원회는 협의회를 통해 정책서민금융 공급 규모를 지난해 10조원 수준에서 올해 11조원 수준으로 확대한다고 밝혔다. 이는 역대 최대 규모이다.
연도별 정책서민금융 공급액은 ▲2022년 9조7000억 ▲2023년 10조6000억원 ▲2024년 10조4000억 ▲2025년 10조8000억원이다.
올해도 새희망홀씨와 근로자햇살론이 가장 많이 공급된다. 우선, 새희망홀씨의 2025년 공급목표는 4조1000억원으로 지난해와 동일하다.
저신용·저소득 근로자 대상 근로자햇살론 공급목표는 3조3300억원으로 지난해 2조6000억원에서 상향 조정됐다.
특히, 올해 상반기 중 예상되는 내수경제 부진을 보완하기 위해 주요 정책 서민금융상품 공급을 조기집행하는 등 자금을 탄력적으로 운영한다.
아울러, 소액생계비대출제도 개선, 최저신용자 특례보증 공급 등을 통해 제도권 금융을 이용하기 어려운 서민층의 자금애로를 완화할 계획이다.
김소영 금융위원회 부위원장은 “서민·취약층에 대한 촘촘한 금융 안전망 구축 등을 통해 우리 금융의 ‘포용성’을 강화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한편 금융감독원은 정책서민금융 공급 확대 뿐만 아니라 과중채무자 채무조정 지원, 금융·고용·복지를 연계한 복합지원 강화, 민생침해 금융범죄 대응 강화에도 적극적으로 나설 계획이다.
- ‘가품’·‘디자인도용’에 이어 ‘충전재 눈속임’까지…입점 의류업체에 칼 빼든 플랫폼들
- 우리은행, 해외법인 실적 하향세… 반등 해법은?
- 현대카드·커머셜·얼터너티브…”95조 자금 쥔 현대차그룹, 자산운용사로 금융제국 완성”
- “이럴줄 알았어”…현대카드, 연초부터 알짜카드 발급 종료 예고
- 넷마블, ‘왕좌의 게임 킹스로드’ 북미와 유럽에서 베타테스트 진행
경제 랭킹 인기글
경제 최신 인기글
-
“피 같은 돈 21조 쪽쪽 빨아먹고도 모자랐나”… 대통령까지 ‘분노 폭발’, 서민들 등골 노린다
-
“대한민국은 역시 부동산의 나라인가” … 주식·코인보다 이곳에, ‘짠희’ 임원희도 선택한 투자처의 정체
-
“절반이 일반인과 결혼?” … 대기업 총수 자녀 최근 10년 변화, 외국인·일반 직장인 배우자 급증
-
“결국 사장이 없어도 돌아가는 회사” … 성공 사업가 DNA 분석, 시스템 구조화·자동화가 장기 성공 비결
-
한국 이겨보겠다더니 “이게 무슨 망신”… 예상 못한 전개에 중국 지도부까지 ‘허둥지둥’
-
“2040년엔 37.8%까지 증가” … 여성 가장 가구 급증, 경제적 현실과 미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