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인정보위 위원장 “전세계가 누릴 수 있는 상호운용적인 AI 거버넌스 체계 필요”

33
개인정보위 위원장 '전세계가 누릴 수 있는 상호운용적인 AI 거버넌스 체계 필요'

고학수(사진) 개인정보보호위원회 위원장은 “긴밀한 국제적 소통·협력과 유연한 사고에 기반한 논의과정을 통해 인류 전체가 함께 번영을 누릴 수 있는 조화롭고 상호운용적인 AI 거버넌스 체계를 마련해야 한다”고 밝혔다.

고 위원장은 23일 서울 더플라자 호텔에서 열린 ‘AI와 데이터 거버넌스 국제 컨퍼런스’에서 개회사를 통해 “전세계적으로 AI 거버넌스 관련 논의가 이뤄지고 있으며 빠르게 변화하고 있다”면서 이같이 말했다.

그는 “개별 국가마다 안전한 AI 활용 정책을 만들고 있지만 파편화된 정책(규범)이 만들어지면 AI 혁신에 필요한 규율 체계를 마련하는 데 효과적이지 못할 것”이라며 “(전세계가) 긴밀히 소통하고 협력해야 한다”고 말했다.

아만딥 싱 길(Amandeep Singh Gill) 유엔 기술특사는 기조연설자로 나서 AI 개발 및 학습을 위한 데이터와 거버넌스의 연결성 및 중요성을 강조하면서, 상호운용적인 거버넌스 체계 마련이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그는 “제대로된 AI 거버넌스가 마련되면 AI를 더 올바르게 사용할 수 있는데 상호운용성이 완전하지 않다”면서 “AI 거버넌스에 대한 (국가 간) 많은 교류가 필요하며, 상호운용적인 거버넌스를 통해 AI 격차를 줄일 수 있다”고 말했다. 이어 “현재 AI 개발사는 편중화돼있으며 아프리카에는 1곳 밖에 없다. AI 격차를 좁히는 게 국제사회가 해야 할 일”이라며 “혁신적인 AI 생태계를 구축할 수 있도록 AI 선진국가와 기업이 도와줘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번 컨퍼런스는 개인정보위와 유엔 AI 고위급 자문기구인 ‘유엔 AIAB’가 AI 시대 데이터 거버넌스의 방향을 논의하기 위해 마련했다. 컨퍼런스에는 유엔 AI 자문위원들과 국제기구 및 국내외 AI 관련 전문가, 산·학·연관계자 등 300여 명이 참석했다.

+1
0
+1
0
+1
0
+1
0
+1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