회사채 흥행에 주관사 확대·투자자 공략 변화 나선 기업들

32

GS건설, PF 우려 속 참여 증권사 4곳으로 늘려

리테일 수요 노린 ‘월이자 지급식’ 채택 활발

ⓒ픽사베이 ⓒ픽사베이

회사채를 통한 순조로운 자금 조달이 잇따르면서 이러한 분위기를 지속하기 위한 기업들의 노력도 지속되고 있다. 주관사와 인수단 규모를 대형화해 미매각 부담을 최소화하는 한편 월 이자 지급 방식으로 리테일 투자자들을 공략하는 등 투심 확보 전략에도 변화를 꾀하고 있다.

21일 금융투자업계에 따르면 최근 회사채 발행에 나서는 기업들이 충분한 자금을 확보하기 위해 다양한 전략을 수립하고 있다.

회사채 시장은 올해 1분기 호황을 나타낸 데 이어 지난달에도 SK하이닉스와 HD현대일렉트릭·롯데글로벌로지스·코오롱인더스트리 등이 회사채 발행을 위한 기관 수요 예측에서 ‘완판’을 기록했다. 계절적 비수기로 여겨지는 2분기에도 비교적 우호적인 흐름을 보이고 있는 것이다.

이러한 상황에서 GS건설이 올해 2분기 건설사 중 처음으로 회사채 발행에 도전해 주목된다.

GS건설은 부동산 프로젝트파이낸싱(PF) 부실 우려가 여전한 가운데 오는 27일 1000억원 규모의 수요 예측을 진행할 예정으로 흥행 여부에 따라 2000억원까지 증액 발행 한도를 열어뒀다.

GS건설은 지난해 3월 1500억원어치 회사채를 찍은 뒤 1년여 만에 회사채 발행을 계획하고 있다. 당시 회사채 발행 때는 대표 주관사로 NH투자증권을 단독 선임했는데 이번에는 NH투자증권 외에도 KB증권·신한투자증권·미래에셋증권 등 증권사 4곳으로 주관사단을 꾸렸다.

건설채 투자 심리가 여전히 위축돼 있는 만큼 수요 예측 미매각에 대비해 주관사단 규모를 키운 것으로 풀이된다.

SK도 주관사를 확대했다. 오는 22일 2500억원 규모의 수요예측을 진행할 예정으로 결과에 따라 최대 4500억원까지 발행한다는 계획을 세웠는데 주관사·인수단 명단에 NH투자증권과 SK증권, 신한투자증권, 하나증권, 부국증권, 리딩투자증권, 신영증권, 현대차증권 등 다수의 증권사가 이름을 올렸다.

그동안 주관사단은 통상 2~4곳 정도로 꾸려졌지만 일부 기업들은 수요 예측 미매각에 대비해 물량을 받아줄 주관사를 늘리고 있는 추세다.

매달 이자를 받는 방식을 선호하는 리테일 투자자들을 겨냥해 월이자 지급 방식을 제시하는 기업들도 늘고 있다.

푸본현대생명은 700억원 규모의 후순위채 발행을 위해 오는 23일 수요예측을 진행하며 최대 1400억원까지 증액 가능성을 열어뒀다.


특히 푸본현대생명은 이번 발행에서 월 이자 지급식 채권(월이표채) 형태를 채택해 눈길을 끌고 있다. 앞서 한국자산신탁과 효성화학, SK어드밴스드도 공모채 발행 과정에서 리테일에 친화적인 월이자 지급 방식을 내걸었다.

금융사들의 월이자 지급식을 채택한 신종자본증권 발행도 활발해지고 있다. 신종자본증권은 주식처럼 만기가 없거나 만기가 통상 30년 이상으로 길며 채권처럼 일정한 이자나 배당을 주는 금융상품을 말한다. 회계상 부채가 아닌 자본으로 분류돼 기업들이 돈을 조달하면서도 재무 건전성 관리를 하기 수월하다.

올해 JB금융지주와 신한은행, 부산은행, 롯데카드 등이 월이자 지급 조건으로 신종자본증권 상품을 구성했고 모두 목표액을 넘어서는 자금을 모았다.

최성종 NH투자증권 연구원은 “카드사 신종자본증권 수요예측에서 모집예정금액 대비 3.6배의 자금이 몰리면서 최종 발행금액을 증액했다”며 “연내 기준금리 인하 기대감 속 고금리 크레딧물에 대한 투자자들의 우호적인 투자 수요가 이어지고 있다”고 분석했다.

+1
0
+1
0
+1
0
+1
0
+1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