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반기 금리 인하 기대감 사실상 소멸…증시 파급력 ‘촉각’

112

7월 0.25%포인트 금리 인하 가능성 37.5%

한은, 연준 금리 인하 이후 하반기에나 단행

금리 인하 늦춰져 투심 위축…변동성 주목

제롬 파월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연준) 이사회  의장 지난 4일(현지시간) 이 CBS 방송과 인터뷰하고 있다. ⓒCBS=뉴시스 제롬 파월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연준) 이사회 의장 지난 4일(현지시간) 이 CBS 방송과 인터뷰하고 있다. ⓒCBS=뉴시스

1월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Federal Open Market Committee) 의사록 공개 이후 상반기 기준금리 인하 가능성은 사실상 사라졌다는 평가다. 이에 한국은행도 ‘신중모드’여서 고금리 기조 지속에 증시 부담 가중 우려가 나오고 있다.

22일 금융투자업계에 따르면 1월 FOMC 의사록에서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연준)의 물가 상승(인플레이션) 경계감을 재확인하며 하반기 금리 인하론에 무게가 실리고 있다.

21일(현지시간) 공개된 1월 FOMC 의사록을 살펴보면 참석 위원들 대부분은 인플레이션이 2%를 향해 지속적으로 둔화하고 있다는 확신이 들 때까지 기준금리 인하가 적절하지 않다는 의견을 내놨다.

고금리 지속에 따른 경기 하방 위험을 우려한 위원은 단 두 명이었고 나머지 위원들은 인플레이션이 다시 살아날 위험에 대해 매우 주의해야 한다는 의견을 제시했다.

시카고상품거래소(CME) 페드워치는 의사록 공개 직후 연준이 3월 기준금리를 인하할 가능성을 6.5%로 예상했다. 한 달 전인 1월19일 예상치인 47.2%와 비교해 40.7%나 떨어졌다.

금리 인하 전망의 무게 추는 점차 하반기로 옮겨가고 있다. CME 페드워치는 7월 FOMC에서 연준이 0.25%포인트 기준금리 인하를 단행할 가능성을 37.5%로 예상했다. 한 달 전 예상치가 2.7%였던 점을 감안하며 시장참여자들도 조기 금리 인하 가능성에 대한 기대를 사실상 접고 있는 셈이다.

이창용 한국은행 총재가 22일 서울 중구 한국은행에서 열린 금융통화위원회 통화정책방향 기자간담회에서 기준금리 동결 배경과 향후 전망에 대해 설명하고 있다. ⓒ연합뉴스 이창용 한국은행 총재가 22일 서울 중구 한국은행에서 열린 금융통화위원회 통화정책방향 기자간담회에서 기준금리 동결 배경과 향후 전망에 대해 설명하고 있다. ⓒ연합뉴스

연준의 조기 금리 인하 기대감 소멸에 한은의 금리 인하 시기도 늦춰질 것으로 전망된다. 한은은 이날 금융통화위원회에서 기준금리를 3.5%로 만장일치 동결했다. 이는 지난해 1월 마지막 금리 인상 이후 9연속 동결이다.

한은은 치솟는 물가를 잡기 위해 지난 2021년 8월 0.50%였던 기준금리를 지난해 1월까지 10차례 연속 인상한 뒤 계속 동결 기조를 유지하고 있다.

금리 동결 기간 긴축 효과가 시차를 두고 반영되면서 물가 상승률이 둔화되고 있기는 하다. 지난해 12월까지 5개월 연속 3%대 머물던 물가상승률은 지난달 2.8%까지 떨어졌다.

다만 한은은 물가상승률이 여전히 목표 수준을 상회하고 있는 만큼 금리 인하를 서두를 필요가 없다는 판단을 유지하고 있다.

이창용 총재는 이날 금통위 직후 기자감담회에서 “상반기 내 금리 인하는 쉽지 않을 것이란 의견을 유지하고 있다”며 “5월 (물가) 전망 수치를 보고 하반기 (인하 여부를) 판단할 수 있을 것”이라고 강조했다.


안예하 키움증권 연구원은 금통위의 금리 동결 결정에 대해 “고금리 영향으로 내수 부진 영향이 나타나고 있고 향후 미 연준의 금리 인하 가능성 등을 감안할 때 한은 또한 하반기부터 금리 인하에 나설 것”이라고 전망했다.

증권가에서는 국내 증시가 기업 밸류업 프로그램으로 상승 압력이 높아지고 상황에서 기준 금리 인하 시점 연기가 악재가 될 수 있다고 보고 있다. 최근 단기 과열 양상과 맞물려 변동성이 확대될 가능성을 염두에 둬야 한다는 분석이다.

금리 인하 시기에 대한 판단은 5월에 윤곽을 드러낼 가능성에 무게가 실리고 있어 통화 정책 관련 투자전략 구상은 당분간 쉽지 않을 것이라는 관측도 나온다.

황준호 상상인증권 연구원은 “저(低)주가순자산비율(PBR) 테마 열풍으로 인해 2월 들어 한국 증시가 단기간에 급등한 점은 단기 과열에 대한 부담을 증대시키고 있다”며 “1월 미국 소비자물가지수(CPI) 쇼크로 인해 미 연준과 한국은행의 금리 인하 시점이 연기된 점도 투심을 위축시키는 요인이 될 것”이라고 설명했다.

+1
0
+1
0
+1
0
+1
0
+1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