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탈출은 지능순이지” 슬슬 발 빼는 볼보, 본진 옮기기 시작

65

볼보, 중국 대신 벨기에로 전기차 생산 이전
EU 상계관세, 무역전쟁 우려 증폭
중국의 보복 조치 가능성 경고

볼보, 중국 내 공장 일부
유럽으로 이전 고민 중

볼보 EX30 예시 -출처 : Volvo
볼보 EX30 예시 -출처 : Volvo

유럽연합(EU)이 중국산 전기차에 대한 관세 인상을 예고한 가운데, 볼보자동차는 일부 모델의 생산 기지를 중국에서 유럽으로 옮기는 계획을 추진 중이다.

8일 영국 일간지 선데이타임스는 볼보가 전기차 모델 EX30EX90의 생산을 중국에서 벨기에로 이전하기 시작했다고 보도했다. 이는 EU의 상계관세 부과에 대응하기 위한 전략으로 풀이된다.

유럽 견제 점차 심화
중국 원툴로는 한계

볼보 EX30 예시 -출처 : Volvo
볼보 EX30 예시 -출처 : Volvo

EU 집행위원회는 지난해 10월부터 중국이 자국산 전기차에 과도한 보조금을 지급해 유럽산 전기차의 경쟁력을 약화시키고 있다고 주장하며 반보조금 조사를 진행하고 있다. 현재 중국산 전기차에는 10%의 관세가 부과되고 있지만, 전문가들은 이 관세율이 25~30%로 인상될 가능성이 있다고 전망했다.

볼보 EX90 예시 -출처 : Volvo
볼보 EX90 예시 -출처 : Volvo

볼보는 스웨덴에 본사를 두고 있지만, 2010년 중국 지리자동차에 인수되었고 중국에 생산 공장을 운영하고 있다. 이에 따라 상계관세 부과의 영향을 크게 받을 수 있다. 볼보는 처음에는 중국에서 생산한 전기차의 유럽 판매를 중단하는 방안을 검토했으나, 결국 생산 기지를 벨기에로 이전하는 결정을 내렸다.

볼보 관계자는 “EU 집행위원회의 조사를 지켜보고 있으며, 결론이 나올 때까지는 이와 관련해 언급할 수 없다”고 말했다. 한편, 중국이 상계관세 부과에 대해 보복 조치를 취할 가능성도 제기되고 있다.

수익은 달콤하지만
주요 국가들은 가만두지 않는다

볼보 C40 리차지 예시 -출처 : Volvo
볼보 C40 리차지 예시 -출처 : Volvo

HSBC에 따르면 독일 자동차 업체들은 중국에서 전체 이익의 20~30%를 창출하고 있으며, 중국의 전기차 배터리 시장 점유율은 60%에 달한다.

전기차 시장조사업체로 모션의 월 로버츠는 “중국의 보복 조치가 무역전쟁으로 이어질 수 있으며, 이는 중국이 지배하는 공급망에 의존하는 지역에 치명적일 수 있다”고 경고했다.

+1
0
+1
0
+1
0
+1
0
+1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