차렷해도 닿지 않는 오다리, 젓가락 다리로 바꿔주는 비법은

742
오다리 교정 전과 후 비교 그림. /그림=강동경희대병원
오다리 교정 전과 후 비교 그림. /그림=강동경희대병원

무릎은 운동 범위가 넓고 몸무게를 많이 지탱해야 해 다른 관절보다 손상당하기 쉽다. 무릎 연골이 지속해서 손상되면 관절이 좁아지게 되고, 다리가 벌어지는 오(O)다리를 만들 수도 있다. 오다리는 똑바로 섰을 때 양쪽 무릎이 닿지 않고 벌어진 상태로, 노년기에는 퇴행성관절염을 악화하는 원인이 되므로 적극적으로 진단·치료해야 한다. 만약 70세 미만이면서 관절염 2기 이상의 환자라면 오다리 교정 수술로 퇴행성관절염 진행을 억제하는 것을 고려해볼 수 있다.

오다리는 다리가 ‘O’자형으로 휘어져 똑바로 서도 양측 무릎이 닿지 않는 상태다. 다리가 휘면서 안쪽으로 체중이 쏠리고 부담을 더 많이 받아 관절이 빨리 닳고 관절염도 악화한다. 이 휜 다리를 교정하는 수술법이 근위경골절골술이다. 수술 목적은 덜 사용한 외측 구획으로 체중부하를 분산해 내측 구획 관절의 손상과 관절염 진행 속도를 늦추고 통증과 기능을 개선하는 것이다.

수술은 무릎 근처에서 경골(정강이뼈)을 자르고 벌려 휘어진 무릎의 각도를 교정하고, 이를 잠김 금속판의 골유합으로 고정하는 방식으로 진행한다. 나라에서 정한 근위경골절골술 보험 기준은 나이 70세 이하, 관절염 1~3기, 다리 모양은 내반슬(오다리) 5도 이상이 해당한다.

근위경골절골술, 50~60대 관절염 환자에 추천


보통은 무릎 관절에 문제가 생겼을 때 인공관절 치환술을 먼저 생각할 수 있지만, 인공관절은 수명이 15~20년으로, 비교적 젊은 50대 후반 60대 초반의 연령대엔 권장되지 않는다. 그 대신, 비교적 젊은 나이에 관절염이 심해져 O자형 변형이 심한 경우에는 자기 관절을 유지하면서 휜 다리도 교정하고 관절염의 증상을 개선할 수 있는 내측 개방형 근위경골절골술을 시도할 수 있다.

현대의학의 발달로 근위경골절골술을 포함한 관절 수술을 받는 나이는 높아지고 있다. 건강보험심사평가원 진료행위통계에 따르면, 2012년 근위경골절골술을 받은 60대 환자의 비중은 18.1%였다. 2022년에는 같은 수술을 받은 60대 환자의 비중이 36.6%로 2배 증가했다. 인공관절 수술은 70대, 80세 이상 환자의 비중이 2012년 52.6%에서 2022년 63.1%까지 증가했다.

강동경희대병원 정형외과 김준호 교수는 “근위경골절골술과 인공관절 수술 모두 국내에서 최근 10년간 수술 건수도 크게 늘었다”며 “이는 경험과 지식이 쌓이면서 적절한 치료 대상을 선정할 수 있었고, 술기 발달, 인공관절 등의 발전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근위경골절골술은 뼈를 잘라서 벌리므로 출혈이 발생한다. 하지만 최근엔 수술 전후로 약제, 혈압 조절 등으로 출혈 위험을 많이 줄일 수 있다. 골 유합을 유도하기 위해 고정력 강한 잠김 금속판을 사용하는데, 이 금속판도 발달해 절골 후 벌린 뼈를 더 단단하고 강하게 고정할 수 있다. 수술 직후에도 목발을 이용해 걸을 수 있게 됐다. 근위경골절골술은 큰 재활치료가 필요하지 않고, 4~6주간 목발을 이용한 보행을 통해 수술 부위에서 교정각 소실이 오지 않도록 하는 게 중요하다.

10년간(2012년과 2022년) 무릎 관절 수술별 연령 비중의 변화 추이. /그래프=강동경희대병원
10년간(2012년과 2022년) 무릎 관절 수술별 연령 비중의 변화 추이. /그래프=강동경희대병원

골다공증, 류마티스 관절염 환자에겐 부적합


근위경골절골술은 연골 재생 수술을 병행해 시행하기도 한다. 미세천공술, 자가 골수 흡입물(줄기세포라고 표현하기도 함), 카티스템(동종 제대혈 유래 중간엽줄기세포)을 시행해볼 수 있다.

근위경골절골술만 시행한 경우와 연골 재생술과 병행한 경우 사이에 임상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다고 보기엔 어렵다. 줄기세포 수술(카티스템 등)은 본래 연골세포(유리연골)와 비슷한 연골로 재생이 됐다는 보고가 있어 기대를 받는 건 사실이다. 김준호 교수는 “근위경골절골술과 줄기세포 수술은 만능이 아니다. 둘을 병행한다고 인공관절 수술을 피할 수 있다고 말하긴 어렵다”며 “줄기세포 수술은 아직 장기간 추시한 연구가 많지 않아 좀 더 지켜볼 필요가 있다”고 조언했다.

근위경골절골술로 O자형 변형을 교정하면, 관절염 통증을 줄일 수 있다. 또 관절이 받는 체중 부하를 줄일 수 있어 관절염의 가속화를 막을 수 있다. 이 때문에 인공관절 수술 시기를 평균 7~10년 미룰 수 있다. 하지만 수술명처럼 뼈를 자르는 수술이기 때문에 심한 골다공증, 류마티스관절염 환자에겐 적합하지 않다. 류마티스관절염 환자의 경우는 보존 치료하다가 인공관절 수술을 고려하는 편이 더 낫다.

수술로 관절염 악화를 늦추고, 통증을 줄일 수는 있지만 수술이 완전한 해결책은 아니다. 연골 재생 수술법이랑 병행해도 마찬가지다. 수술 이후에도 꾸준히 관리해야 한다. 수술 전·후로 체중을 관리해야 하고, 근력과 올바른 자세를 유지해야 한다. 김준호 교수는 “관절염 환자는 운동하면 안 된다고 말하는 사람들이 있지만 그렇지 않다”며 “적절한 체중을 유지하며, 적당한 근력을 유지해줘야 체중의 무릎 과부하를 방지할 수 있으니 하체, 특히 허벅지 근력 운동은 꾸준히 하는 게 좋다”고 강조했다.

+1
0
+1
0
+1
0
+1
0
+1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