귀엽다고 무심결에 길고양이를 만지는 행위를 삼가야겠다.
길고양이와 접촉한 여성이 고열과 혈소판 감소 등 증세를 호소하고 있다.
![](https://contents-cdn.viewus.co.kr/image/2023/07/CP-2022-0028/image-f1dc7c3a-ba44-4aae-9aff-fd28d4d27d5c.jpeg)
제주 서귀포시에 따르면 지난 2일 길고양이와 접촉한 40대 여성 A 씨가 나흘 뒤인 6일 진행한 중증열성혈소판감소증후군(SFTS) 검사에서 양성 판정을 받았다.
SFTS는 2011년 중국에서 처음 보고된 신종 감염병으로, SFTS 바이러스를 가진 작은소참진드기에게 물려 발병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https://contents-cdn.viewus.co.kr/image/2023/07/CP-2022-0028/image-add0363f-b7ec-43d2-aad4-7fa84d40b717.jpeg)
우리나라에선 2012년 처음 감염 발생이 보고됐고, 해마다 환자 수가 늘어나는 추세다. 주로 농사일이나 야외 활동을 하다 진드기에 노출되는 경우가 많고, 치명률이 높아 일명 ‘살인 진드기’라고 불리기도 한다.
![](https://contents-cdn.viewus.co.kr/image/2023/07/CP-2022-0028/image-17c27d35-fce7-4f71-9f2c-7499761d84ab.jpeg)
최근 SFTS 검사에서 양성 판정을 받은 A 씨는 특별한 외부 활동이 없었으나, 감염이 된 것으로 알려졌다. 며칠 전에 길고양이와 접촉한 게 전부라고 한다.
길고양이로 인해 감염되는 사례는 이례적이라, 서귀포보건소 측은 A 씨 진술을 바탕으로 역학조사에 나섰다.
질병관리청에 따르면 SFTS에 걸린 환자는 고열, 식욕 저하, 구토, 설사, 복통, 혈소판 감소 등 증세를 겪는다. 현재까지는 따로 예방 백신과 치료제가 없다.
치명률이 16.9%에 달하는 만큼 감염되지 않도록 주의를 기울이는 수밖에 없다.
2020년부터 지난해까지 최근 3년간 SFTS에 감염된 환자는 전국 기준 총 608명으로, 이 중 103명이 사망했다. 지난달 13일을 기준으로 올해 발생한 환자만 해도 19명이고, 이 중 4명이 목숨을 잃었다.
![](https://contents-cdn.viewus.co.kr/image/2023/07/CP-2022-0028/image-39c8742e-696a-4d51-92d3-f16d95e7e4a0.jpeg)
올해 기후 변화(기온 상승 등)에 따라 진드기 활동 시기가 앞당겨지고 개체 수도 급증할 것으로 예상되면서 더욱 주의가 필요하다.
현재 추정 상태이긴 하지만, 길고양이를 만지는 과정에서 진드기에게 물려 감염됐을 가능성이 보고된 만큼 이 또한 유의해야 할 것으로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