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헬스S] 근육 굳는 파킨슨병, 약물치료 빨리 하세요

604

파킨슨병은 완치는 할 수 없지만 약물치료로 증상을 호전시킬 수 있다. 치료제 복용을 늦추라는 잘못된 속설이 있지만 약물치료는 빠를수록 좋다. /사진=이미지투데이

오는 11일은 ‘세계 파킨슨병의 날’이다. 영국 의사 제임스 파킨슨이 1817년 학계에 최초로 병을 보고한 것을 기념해 그의 생일인 4월11일이 세계 파킨슨병의 날로 지정됐다.

파킨슨병은 뇌의 도파민성 신경세포를 비롯한 다양한 신경세포의 소실로 발생하는 퇴행성 뇌질환이다. 3대 노인성 뇌질환 중 하나로 치매 다음으로 흔한 퇴행성 뇌 질환이다. 고령화 사회로 접어들면서 파킨슨병 환자는 증가세를 보인다.

건강보험심사평가원 자료에 따르면 파킨슨병 환자는 2017년 10만716명에서 2021년 11만6504명으로 약 15.7% 증가했다. 교황 요한 바오로 2세, 권투선수 무하마드 알리, 미국 대통령 로널드 레이건, 독재자 아돌프 히틀러 등이 파킨슨병을 앓았다.

파킨슨병 증상은 안정된 자세에서 신체의 일부가 떨리는 증상인 떨림, 몸의 움직임이 느려지는 서동, 근육이 굳어지는 경직, 다리를 끌면서 걷게 되는 보행장애, 자세가 구부정해지면서 쉽게 넘어지는 자세 불안정 등이 있다. 신체적 증상뿐만 아니라 치매, 불안, 우울, 환시, 수면장애, 자유신경장애 등이 동반될 수 있다.

발병원인은 아직 명확하게 밝혀지지 않았다. 유전자 돌연변이는 전체 파킨슨병 환자의 약 5%에만 적용된다. 제초제나 살충제와 같은 농약 성분, 이산화질소와 같은 대기오염물질 등 환경적 요인이 파킨슨병을 유발한다고도 알려졌다.

근본적인 예방·치료제는 아직 없다. 다만 파킨슨병은 뇌질환 중 약물치료로 유일하게 증상이 호전된다. 일부 잘못된 속설 중에 파킨슨병 치료제를 최대한 늦게 복용해야 한다는 것이 있다. 하지만 뇌에서 도파민이 지속적으로 부족하면 뇌 운동회로를 포함한 연결 기능들이 장애를 일으킬 수 있어 약물치료를 통해 부족한 도파민을 보완해야 한다.

정선주 서울아산병원 신경과 교수는 “담당 의사의 처방에 따라 파킨슨병 약물의 용량과 용법을 철저하게 지켜 복용한다면 일어나지 못하는 환자는 걸을 수 있게 되고 잘 걷지 못하는 환자는 뛸 수 있게 된다”고 말했다.

약물치료에 내성이 생기고 후기 운동 합병증이 심하다면 수술을 할 수도 있다. 75세 이전에 건강상태가 좋은 파킨슨병 환자의 피하조직에 기계를 장착한 뒤 뇌의 깊숙한 곳에 있는 담창구나 시상하핵에 전기자극을 줘 운동 증상을 개선하는 뇌심부자극술을 시행할 수 있다.

파킨슨병 환자는 피곤하고 힘이 빠지고 기운이 없는 증상이 특징이기 때문에 영양 관리가 중요하다. 뇌에 좋은 비타민C·E가 많이 함유된 사과, 딸기, 귤, 오렌지, 키위 등의 과일과 양배추, 브로콜리, 녹색 채소 등을 섭취해야 한다.

정 교수는 “단백질 섭취도 중요한데 파킨슨병 치료제 약효를 떨어뜨릴 수 있어 치료제 복용시간과 1시간 이상 시간을 두는 것을 권장한다”고 말했다.

+1
0
+1
0
+1
0
+1
0
+1
0